|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67(3); 2024 > Article

Review

문 1. 다음 중 안면거상술 수술 시 가장 자주 손상을 입는 신경에 해당하는 것은?
① Temporal branch of facial nerve
② Marginal mandibular branch of facial nerve
③ Zygomatic branch of facial nerve
④ Greater auricular nerve
⑤ Auriculotemporal nerve
문 2. 60세 여자 환자가 안면거상술을 시행 받고 회복하던 중 10시간 후에 갑자기 우측 안면부에 극심한 통증과 부종을 호소하였다. 가장 의심할 수 있는 합병증은?
① Infection
② Nerve injury
③ Parotid injury
④ Facial nerve palsy
⑤ Hematoma
문 3. 안면거상술을 시행할 때 이하선의 앞쪽 피하면에서 안면신경의 가지들이 놓여있는 위치는?
① Subcutaneous
② Superficial musculoaponeurotic system (SMAS) 직상방
③ SMAS 직하방
④ Parotid masseteric fascia 직상방
⑤ Parotid masseteric fascia 직하방
문 4. 협측 지방 패드(Bichat’s fat pad)의 표층을 가로지르는 안면 신경의 가지에 해당하는 것은?
① Temporal branch
② Zygomatic branch
③ Buccal branch
④ Marginal mandibular branch
⑤ Cervical branch

Otology

문 1. 다음 중 만성 화농성 중이염에서 가장 흔히 검출되는 병원체는 무엇인가?
① S. pneumoniae
② H. influenzae
③ S. aureus
④ M. catarrhalis
⑤ 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us
문 2. 만성 중이염 수술 후 감염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흔히 처방되는 경구 경험적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② 배양검사를 시행하고 원인균을 확인 후 적합한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
③ 대부분 수술 전 배양검사에서 확인된 균과 일치한다.
④ 수술 후 심한 염증소견이 지속된다면 내성 균주가 병인일 가능성이 높다.
⑤ 최근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Rhinology

문 1. Chat generated pre-trained transformer (ChatGPT)를 통해 알레르기 비염의 의학정보를 질문하여 얻은 다음의 결과 중 신뢰할 수 없는 내용은 어떤 것인가?
① 피부반응검사는 원인항원을 규명할 수 있는 기본적이면서 경제적이고 진단가치가 높은 검사법이다.
② 혈액검사인 혈청 총 immunoglobulin E (IgE) 검사를 통해 특정 알레르기 물질에 대한 항체 수준을 측정하여 수십 종의 항원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다.
③ 비강내 스테로이드제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증상을 가장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치료제이다.
④ 비강내 옥시메타졸린은 약물 유발성 비염(rhinitis medicamentosa)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단기요법이 추천된다.
⑤ 맑은 콧물, 재채기 증상으로 일상생활이 불편한 임신 30주의 여성에게 적절한 알레르기 비염의 치료는 식염수 세척과 cetirizine이다.
문 2. 42세 여자 환자가 5년 전 부비동 내시경 수술 후 양측 비용종과 만성부비동염이 재발하여 내원하였다. 환자는 코막힘과 후각소실을 호소하였고 삶의 질이 상당히 저하되어 있다고 하며, 감기약이나 진통제를 먹으면 눈 주변이 붓고, 코막힘이 심해지며, 입술이 자주 붓는 병력이 있다고 한다. 이 환자의 만성부비동염 내재형(endotype) 분석을 통해 생물학적제제(biologics) 치료를 고려할 때 이 환자와 생물학적 제제에 대해 기술한 사항 중 옳은 것은?
① Th-1 면역반응과 IL-8의 과다발현이 동반되는 염증반응이 주로 일어난다.
②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③ 생물학적제제인 dupilumab은 혈액내 유리(free) IgE를 차단하여, 호산구의 활성화를 막는 역할을 한다.
④ 이 환자는 서양인 비용종의 80% 정도 나타나는 호중구성 비용종으로 dupilumab 혹은 omalizumab의 생물학적제제 치료에 효과를 볼 가능성이 높다.
⑤ 이 환자에서 이전 수술시 환자의 광학 현미경 고배율 시야(high power field)당 10개 이상의 조직호산구증가증이 있고, 혈액호산구증가증이 250/μL 이상 있다면 생물학적제제의 치료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Head and Neck

문 1. 다음 중 경피적 성대 내 스테로이드 주입술(percutaneous steroid injection, PSI)의 적응증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성대 결절
② 성대 폴립
③ 레인케 부종
④ 성대 위축
⑤ 성대 반흔
문 2. 경피적 성대 내 스테로이드 주입술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고르시오.
① 경피적 성대 내 스테로이드 주입술 이후 성대 위축이 생기는 경우 적극적인 약물 치료를 해야 한다.
② 경피적 성대 내 스테로이드 주입술은 후두 미세 수술을 온전히 대체할 수 있는 독립된 치료법이다.
③ 흡연자의 경우 경피적 성대 내 스테로이드 주입술 이후 재발률이 비흡연자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난다.
④ 가장 흔한 경피적 성대 내 스테로이드 주입술의 접근법은 갑상설골막(thyrohyoid) 접근법이다.
⑤ 경피적 성대 내 스테로이드 주입술은 전신 마취가 필수적이다.

정답 및 해설

Review

문 1. 답 ④
해 설 대이개신경은 안면거상술 수술 시 가장 많이 손상을 받는 신경으로 발생률은 최대 7%에 달한다.
문 2. 답 ⑤
해 설 수술부위의 혈종은 안면거상술의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증상은 안면부종, 멍, 통증 등이며 대개 수술 후 첫 24시간 이내에 발생한다.
문 3. 답 ③
해 설 Parotid gland 위에서 facial nerve는 parotidomasseteric fascia와 parotid 실질에 의해 보호되어 비교적 subSMAS dissection에 안전하며 parotid anterior border에서는 안면신경이 SMAS 아래로 바로 노출이 되어 있기 때문에 손상 가능성이 커진다.
문 4. 답 ③
해 설 안면신경의 buccal branch가 협측 지방 패드(Bichat’s fat pad)의 표층을 가로질러 주행한다. 따라서 협측지방패드를 절제하거나 이동할 때 주의를 요한다.

Otology

문 1. 답 ③
해 설 만성중이염에서 가장 흔한 병원체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와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이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402-3.
문 2. 답 ③
해 설 이루에서 배양되는 균주와 술후 감염 발생을 일으키는 균주는 다를 수 있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439.

Rhinology

문 1. 답 ②
해 설 ① 피부반응검사는 원인항원을 규명할 수 있는 기본적이면서 경제적이고 진단가치가 높은 검사법이다.
② 혈액검사인 혈청 총 IgE 검사는 항원을 진단하는 방법은 아니며, 진단적 가치보다는 전반적인 경향을 짐작하는 데 도움이 된다.
③ 비강내 스테로이드제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증상을 가장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치료제이다.
④ 비강내 옥시메타졸린은 약물 유발성 비염(rhinitis medicamentosa)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단기요법이 추천된다.
⑤ 임산부에게는 항히스타민제로 cetirizine이나 loratadine 같은 2세대 항히스타민제가 사용되며, 임신 첫 3개월은 피하는 것이 좋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243-4, 256-62.
문 2. 답 ⑤
해 설 ① Th-2 면역반응과 IL-4, IL-13의 사이토카인이 작용하는 제2형 염증 반응이 주로 일어난다.
② 이 환자는 천식(asthma),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과민반응(NSAID-exacerbated respiratory disease, NERD)을 동반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제2형 염증은 천식과 연관이 있다.
③ 생물학적제제인 dupilumab 은 IL-4, IL-13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단클론 항제로 호산구의 활성화를 막는 역할도 한다.
④ 서양인 비용종의 80% 정도 나타나는 내재형은 호산구성 비용종이다.
⑤ 생물학적 제제의 적응증에 관해서 아직 확립된 명확한 기준은 없으나, EPOS 2020, EUFOREA 합의서 등에 따라 그 적응증은 수술적 치료 기왕력이 있는 양측성 비용종 환자에서는 다음의 5가지 조건 중 3가지,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에서 다음의 5가지 조건 중 4가지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1) 제 2형 염증의 증거: 광학 현미경 고배율 시야(high power field)당 10개 이상의 조직호산구증가증이 있고, 혈액 호산구증가증이 250/μL 이상, 혹은 total IgE 100 kU/L 이상
2) 전신 스테로이드제 의존(연간 2차례 이상이거나 총 3개월 이상 지속 사용) 혹은 해당 약물의 금기인 환자
3) 삶의 질 저하 증상(SNOT-22 점수 40 이상)
4) 후각 검사상 무후각증
5) 스테로이드 흡입제가 필요한 천식 동반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322, 333-5, 338-9.
대한비과학회. 만성부비동염 업데이트. 2판. 파주: 군자출판사;2022. p.96-106.

Head and Neck

문 1. 답 ④
해 설 성대 위축의 경우 경피적 성대 내 스테로이드 주입술의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적응증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987.
문 2. 답 ③
해 설 PSI 이후 성대 위축이 생기는 경우 경과 관찰로도 충분하며, 현재까지는 후두 미세 수술의 보조적 치료로 사용된다.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접근법은 윤상갑상막(crycothyroid) 접근법이며, 전신마취로 시행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국소마취로 시행한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987.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XML Download  XML Download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241
View
7
Download
Related articles
Self-Test Examination  2024 April;67(4)
Self-Test Examination  2024 February;67(2)
Self-Test Examination  2024 January;67(1)
Self-Test Examination  2023 December;66(12)
Self-Test Examination  2023 November;66(11)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