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0(4); 1997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7;40(4): 481-489.
Detection of Human Papillomavirus(HPV) in Sinonasal Inverted Papilloma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Chan Seung Hwang, Min Ki Hong, Hoon Kim, Chun Gil Kim, Young Jin Lee, Seol Hee Park, Bum Woo Yeom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2Department of Path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반전성 유두종에서 중합효소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한 Human PapillomaVirus(HPV)의 검출
황찬승1 · 홍민기1 · 김 훈1 · 김춘길1 · 이영진2 · 박설희2 · 염범우2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1;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2;
ABSTRACT
The human papillomavirus(HPV) is a subfamily of the Papovaviridae family as a double stranded DNA virus, and HPV is the etiological agent of squamous cell papillomas in different anatomic regions including the skin and the mucous membranes of oral cavity, esophagus, respiratory and anogenital tracts. Inverted papilloma of the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es is uncommon benign lesion, in which there is a inversion of the neoplastic epithelium into the underlying stroma. The local aggressiveness, high rate of recurrence, associated malignancy, and tendency of multicentricity have led to the advocation of radical removal of the tumor. The cause of sinonasal inverted papilloma remains unknown. However, the involved etiologic factors are thought to be smoking, allergy, environmental factors, HPV, and chronic infe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HPV in sinonasal inverted papilloma,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ellular dysplasia and recurrence of inverted papilloma,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PV and recurrence of inverted papilloma in forty two sinonasal inverted papillomas(inverted papilloma without dysplasia 30 cases, inverted papilloma with dysplasia 6 cases, inverted papilloma associated squamous cell carcinoma 5 cases, inverted papilloma transformed squamous cell carcinoma 1 case). For these purposes, paraffin-embedded tissues were subjected to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type-specific primers pair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HPV was detected in 5(12%) out of 42 cases of inverted papilloma, one contained human papillomvirus 6, two contained human papillomavirus 11, and two contained human papillomavirus 16. 2) The recurrence of inverted papilloma occurred in 1(16%) out of 6 cases exhibited dysplasia, in 3(10%) out of 30 cases not exhibited dysplasia. 3) The recurrence of inverted papilloma occurred in 2(66%) out of 3 cases positive for HPV, in 2(6%) out of 33 cases negative for HPV. In conclusion HPV was thought to be the etiological factor of sinonasal inverted papilloma. Also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HPV and recurrence of inverted papilloma. Further work is in progress to determine the possible mechanisms by which HPV induces oncogenesis in inverted papilloma.
Keywords: HPVPCRInverted papilloma
서론 HPV(human papillomavirus)는 Papovaviridae군에 속하는 이중쇄 구조의 DNA virus로서 피부 사마귀, 항문성기기관 및 호흡소화기관의 양성 또는 악성 편평상피유두종을 유발하는 원인 인자로 알려져 있다.22)27)38)39) 비강 및 부비동에 발생하는 반전성 유두종은 비종양중 0.5∼4%로 비교적 드문 양성 상피종양이지만17)32), 임상적으로 국소 침윤, 높은 재발율, 악성 종양 동반, 악성 전환 등의 특징을 갖고 있어 광범위한 수술적 절제 및 술후 주기적이고 세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한 질환이다.6)14)17) 반전성 유두종의 원인 인자로는 알레르기, 만성 부비동염, 바이러스, 흡연 및 환경적 유해인자로 알려져 있으나30)39)43), 최근 분자생물학의 발전으로 반전성 유두종에서 HPV를 검출함으로써 반전성 유두종의 병인으로 HPV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11)30)32)39)43) 그러나 아직까지 HPV의 종양 유발기전은 확실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며, 반전성 유두종에서 병리 조직세포 이형성과 재발과의 연관성 및 HPV와 반전성 유두종의 재발과의 연관성에 대하여는 아직 논란이 되고 있다.4)8)16)25) 본 연구의 목적은 반전성 유두종으로 진단받은 42례의 파라핀 포매조직을 이용하고, 바이러스 검출시 가장 민감도가 높은 중합효소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하여 HPV를 검출함으로써 비강 및 부비동에 발생한 반전성 유두종의 원인 인자로서 HPV의 역할을 규명하고, 병리조직세포 이형성 및 HPV와 반전성 유두종의 재발과의 연관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실험 대상 및 실험 방법 1. 대상 연구대상은 1990년 1월부터 1995년 10월까지 중앙대학교 이비인후과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이비인후과에서 반전성 유두종으로 진단되어 수술을 받은 4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42례의 연령분포는 19∼79세로 다양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51.8세이고, 40∼50세에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성별분포는 남자 29례, 여자 13례이었고, 남녀비는 2.23:1로 남자에게서 많았다. 42례 모두 1년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으며 양성형의 반전성 유두종의 재발율은 36례중 4례(11%)에서 재발하였고, 악성형의 반전성 유두종 6례 모두는 10개월 이내에 재발하였다. 병리조직소견상 42례중 6례에서 세포이형성이 동반된 소견(Fig. 1)을 관찰할 수 있었고, 5례에서 편평상피세포암이 동반된 소견(Fig. 2)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1례에서는 술후 7개월째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전환되었고, 나머지 30례는 정상적인 반전성 유두종의 병리조직소견(Fig. 3)이 관찰되었다(Fig. 4). 대상례의 조직표본 재료는 파라핀 포매조직의 hematoxylin-eosin 염색표본을 검토하여 종양이 많이 포함되고 보관 상태가 양호한 부위를 선택하였다. 2. 방법 1) Oligonucleotide primer의 준비 HPV 6, 11, 16, 18, 33의 특이한 증폭을 위하여 이용되는 oligonucleotide primer는 각 바이러스에 특이한 부위에 따른 Queen과 Korn의29) 염기서열(Table 1)을 사용하여 applied biosystem의 DNA synthesizer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HPV 6, 11, 16, 18, 33의 증폭되는 base pair는 각각 280, 360, 152, 216, 455이었다. 2) DNA의 분리 파라핀에 포매된 조직을 10μm 두께로 절편하여 xylene으로 조직을 탈파라핀화 시킨후, 100% 에탄올로 xylene을 제거하고 대기중에 건조시켰다. 세포막의 파괴를 위하여 cell suspension solution(Bio 101사 제품) 0.9ml, RNAase(Bio 101사) 25μl, cell lysis/denaturing solution(Bio 101사) 50 μl을 넣고 55℃ water bath에 15분간 반응시킨후, proteinase K 10μl와 protease Mixx 10μl을 넣고 55℃ water bath에 12시간 반응시켰다. 불필요한 단백질을 침전시키고 반응물을 중화시키기 위하여 saltout mixture(Bio 101 사) 250μl을 넣은 후, 0℃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상층액에 TE buffer(10mM Tris+1mM EDTA, pH 8.0) 2ml와 100% 에탄올 8ml을 넣고 -20 ℃에서 2시간 반응시킨후, 15분간 원심분리를 한 다음 상층액을 버리고 대기중에 거조시켜 DNA pellet을 얻었다. DNA 정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DNA pellet이 담긴 tube에 TE buffer 30μl을 넣어 수용액 상태로 만든후 DU-64 spectrophotometer(BECKMAN사)을 이용하여 OD(optimal density) 값을 구하였다. 또한 분리된 DNA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β-globin primer를 사용하여 중합효소반응후 전기영동상 267 bp 크기의 single band가 확인된 조직의 DNA만을 각 HPV type에 대한 중합효소반응을 시켰다(Fig. 5). β-globin test상 불량한 상태의 조직의 DNA는 파라핀 포매조직을 이용하여 DNA를 다시 분리하였다. 3) 중합효소반응(PCR) 중합효소반응은 분리된 DNA 0.25-0.5μg, 10p mole foreward primer 1μl, 10p mole reverse primer 1μl, 10X buffer 2.5μl, 2mM dNTP 2.5μl, Taq poly-merase 1μl, 멸균 증류수 14.8μl을 혼합하여 denaturation(94℃), annealing(55℃), extension(72℃)의 주기로 35회 반복하였다. 한 주기는 denaturation 30 초, annealing 2분, extension 2분을 시행하였으며 반응혼합물에는 100μl의 미네랄 오일을 얹어 증발을 방지하였다. PCR 반응에는 block 방식인 Gene Amp PCR system 2400(PERKIN ELMER사)을 사용하였으며, 증폭된 DNA의 10μl를 1.2% agarose gel에 100 volt에서 30분간 전기영동을 시행한 후 ethidium bromide 용액으로 염색하여 자외선 투사기(ultraviolet transilluminator)로 관찰하고 폴라로이드 카메라로 촬영하였다. 42례의 표본 조직에 대하여 HPV 6, 11, 16, 18, 33 primer를 각각 중합효소반응을 시행하였다. 결과 1. HPV의 검출 중합효소반응을 이용한 HPV의 검출 결과는 반전성 유두종 42례중 5례(12%)에서 검출되었으며, 병리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HPV 검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세포이형성을 동반하지 않은 반전성 유두종 30례중 2례(6%), 세포이형성을 동반한 반전성 유두종 6례중 1례(16%), 편평상피세포암을 동반한 반전성 유두종 5례중 2례(40%)에서 HPV가 검출되었다. HPV가 검출된 5례중 HPV type은 양성형의 반전성 유두종인 경우 HPV 6형 1례, HPV 11형 2례가 검출되었고, 편평상피세포암을 동반한 반전성 유두종인 경우에는 HPV 16형 2례가 검출되었다(Table 2, Fig. 6). 2. 세포이형성과 재발과의 연관성 양성형 반전성 유두종 36례에서 세포이형성을 동반한 6례중 1례(16%)에서 재발하였고, 세포이형성을 동반하지 않은 30례중 3례(10%)에서 재발하여 group간의 재발율은 큰 차이가 없었다(Table 3). 3. HPV와 재발과의 연관성 양성형 반전성 유두종 36례에서 HPV가 검출된 3례중 2례(66%)에서 재발하였고, HPV가 검출되지 않은 33례중 2례(6%)에서 재발하였다. HPV가 검출된 예에서 HPV가 검출되지 않은 예보다 재발율이 훨씬 높았다(Table 4). 고안 HPV는 Papovaviridae군에 속하는 55∼60nm 크기의 이중쇄 구조를 갖는 DNA virus로 viral capsid는 72개의 capsomer로 이루어져 있으며27), 피부 사마귀, 구강, 식도, 호흡 및 항문생식기관의 점막에 양성 또는 악성 편평상피세포 유두종을 유발하는 원인 인자로 알려져 있다.38)39) HPV는 60여 종의 subtypes이 존재하며 HPV 6형, 11형은 주로 양성 종양을 유발하고9)35), high-risk group인 HPV 16형, 18형, 33형은 악성 종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35) 특히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HPV 11형은 후두 유두종의 원인 인자로2)19), HPV 16형은 후두 사마귀암종, 후두 편평상피세포암종의 원인 인자로1)19)26) 알려져 있다. HPV의 검출 방법은 혈청학적 방법, 조직학적 방법 및 면역화학적 방법이외에 Southern blotting이나 hybridization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특히 혈청학적인 방법으로 HPV 검출이 용이치 않은 이유로는 HPV를 배양하기가 매우 힘들고, HPV는 종특이적 성향이 강하며, 매우 약한 항원성을 갖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그러나 최근 분자생물학의 발전에 따라 중합효소반응(PCR)과 ISH(in situ hybridization)과 같은 새로운 기법이 개발됨에 따라 HPV의 검출이 용이해졌다. ISH 방법은 민감도가 낮은 반면에 세포내에서 바이러스의 검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PCR 방법은 정량적 분석이 힘들고 위양성에 의한 특이성이 떨어지는 반면에, 1개의 세포당 0.1∼0.2HPV genomes까지도 검출이 가능한 매우 민감도가 높은 방법으로 파라핀 포매조직을 이용한 HPV 검출시 가장 민감도가 높은 방법이다.11)33) 또한 많은 양의 검체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역학적인 기능도 기대할 수 있다. HPV의 종양 유발기전은 아직까지 확실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HPV genomes중 transforming protein인 E6가 종양 억제유전자로 알려진 P53 유전자를 분해하여 종양을 유발하며3), IL-6나 TNF-α와 같은 cytokine 분비의 감소를 초래하여 감염된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존속함으로써 종양이 유발되고3)45), MHC class I 항원 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세포면역 방어기전(cel-lular immune surveillance)로 부터 벗어나 종양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다.3)10)40) 그러나 HPV가 감염된 상태에서 악성 전환을 하기 위해서는 흡연, 화학적 발암물질, 방사선과 같은 보조 인자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비강 및 부비동에 발생하는 반전성 유두종은 Ward가42) 처음 기술한 이래 20여 개의 다른 이름으로 불리어졌으며, Ringertz 등이31) 처음으로 조직학적으로 기술하였다. 반전성 유두종은 비종양중 0.5∼4%로 비교적 드물며,17)32) 외배엽 상피세포에서 기원하여 기질속으로 반전하는 특성을 가진 양성 상피종양이지만,11) 임상적으로 국소 침윤, 높은 재발율, 악성 종양 동반, 악성 전환 등의 특징을 갖고 있어 광범위한 수술적 절제 및 술후 주기적이고 세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한 질환이다.6)14) 반전성 유두종의 원인 인자로는 바이러스, 알레르기, 만성 부비동염, 흡연 및 환경적 유해인자 등으로 알려져 있다.30)39)43) 1983년 Syrjanen 등이38) 반전성 유두종의 원인 인자로 HPV를 처음 기술한 이래 분자생물학의 발전에 따라 많은 연구논문에서 HPV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Table 5). 반전성 유두종에서 바이러스가 원인 인자로 생각되는 간접적인 증거로는 이러한 병변들이 field effect를 보이며, 다중심성(multicentricity)이고, 주위 상피조직이 변형적(metaplastic) 변화를 잘 하고, 임상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의 특징적 증상인 재발율이 높다는 사실들을 생각할 수 있다.8)43)44) 본 연구결과에서는 세포이형성을 동반하지 않은 반전성 유두종 30례중 2례에서 HPV 11형이 검출되었고, 세포이형성을 동반한 반전성 유두종 6례중 1례에서 HPV 6형이 검출되었으며, 편평상피세포암종을 동반한 반전성 유두종 5례중 2례에서 HPV 16형이 검출되어 전체적으로 42례중 5례(12%)에서 HPV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HPV는 반전성 유두종의 원인 인자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며, HPV 6형과 HPV 11형은 양성형의 반전성 유두종을 유발하고, high-risk group인 HPV 16형은 반전성 유두종의 악성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같이 비강 및 부비동의 반전성 유두종에서 HPV의 검출율이 낮은 이유로는, 첫째 비강 및 부비동부위에는 다른 항문성기기관에 비하여 viral copy number가 적고, 둘째 실험에 사용된 조직이 포르말린으로 고정후 파라핀으로 보존된 검체로 바이러스 검출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세째 검체가 오래되어 DNA 분해가 일어났을 가능성 등을 생각할 수 있다.15) 반전성 유두종은 조직학적으로 양성 상피종양이지만 8∼29% 정도의 높은 재발율을5)6)18) 보이는 질환이다. 이와같이 높은 재발율을 보이는 이유는 종양 자체가 다중심성(multicentricity) 성향을 갖고 있어 수술적 제거시 병변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이유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되고 있다.5)14)17) 또한 Synder와 Perzin 등은37) 병리조직세포 형태와 재발이 밀접한 연관성이 있어, 세포이형성을 동반한 반전성 유두종이 세포이형성을 동반하지 않은 반전성 유두종보다 재발율이 높다고8) 주장한 반면에 병리조직학적 세포이형성과 재발과는 연관성이 없다는 주장도 많다 28)36). 본 실험결과에 의하면 악성을 동반하거나 악성으로 전환된 6례 모두에서 재발하였으며, 세포이형성을 동반한 반전성 유두종 6례중 1례(16%), 세포이형성을 동반하지 않은 반전성 유두종 30례중 3례(10%)에서 재발을 보였다. 또한 양성형 반전성 유두종 36례에서 HPV가 검출된 3례중 2례(66%)에서 재발하였으며, HPV가 검출되지 않은 33례중 2례(6%)에서 재발을 보여 HPV가 검출된 예에서 재발율이 훨씬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중합효소반응을 이용한 HPV 검출방법은 파라핀 조직에서도 가능한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하며, HPV는 비강 및 부비동에 발생하는 반전성 유두종의 원인 인자로 생각되고, 특히 HPV 6형과 11형은 양성형의 반전성 유두종, HPV 16형은 악성형의 반전성 유두종의 원인 인자로 생각된다. 세포이형성 동반유무와 재발과는 연관성이 없었으나, HPV 검출과 재발과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보다 많은 대상례를 얻을 수 있다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HPV가 반전성 유두종에서 종양 유발기전에 대한 연구와 high-risk HPV type인 HPV 16형이 악성 암종을 유발하는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임상적으로 얻어진 조직에서 HPV가 검출될 경우 환자에게 재발의 가능성이 높음을 주지시킬 수 있으며, 특히 high-risk HPV형이 검출될 경우 환자에게 악성 전환의 가능성 등을 주지시킬 수 있고, interferon과 같은 항바이러스제제를 사용함으로써 재발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결론 중합효소반응을 통하여 비강 및 부비동에서 발생한 반전성 유두종에서 원인 인자로서의 HPV 역할을 규명하고, 병리조직세포 이형성과 재발과의 연관성 및 HPV 검출과 재발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임상 및 병리학적으로 진단된 세포이형성을 동반하지 않은 반전성 유두종 30례, 세포이형성을 동반한 반전성 유두종 6례, 편평상피세포암종을 동반한 반전성 유두종 5례, 편평상피세포암종으로 전환된 반전성 유두종 1례 등 총 42례의 반전성 유두종을 대상으로 시행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HPV 검출율은 42례중 5례(12%)이었으며, HPV 6형 1례, HPV 11형 2례, HPV 16형 2례이었다. 2) 세포이형성을 동반한 6례중 1례(16%)에서 재발하였고, 세포이형성을 동반하지 않은 30례중 3례(10%)에서 재발하였다. 3) HPV가 검출된 3례중 2례(66%)에서 재발하였고, HPV가 검출되지 않은 33례중 2례(6%)에서 재발을 보여 HPV가 검출된 예에서 재발율이 훨씬 높았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HPV는 비강 및 부비동에 발생하는 반전성 유두종의 병인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반전성 유두종의 재발과 세포이형성 동반유무와는 연관성이 없었으나 HPV와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Abramson AL, Brandsma J, Steinberg B: Verrucous carcinoma of the larynx. Possible human papillomavirus etiology. Arch Otolaryngol 111:709-715, 1985 2) Abramson AL, Steinberg BM, Winkler B: Laryngeal papillomatosis:Clinical, histopathologic and molecular studies. Laryngoscope 97:678-685, 1987 3) Altmann A, Jochmus I, Rosl F: Intra- and extracellular control mechanisms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Intervirology 37:180-188, 1994 4) Beck JC, Mcclatchey KD, Lesperance MM, et al: Human papillomavirus types important in progression of inverted papilloma. Otolaryngol Head and Neck Surg 113:558-563, 1995 5) Bielamowicz S, Calcaterra TC, Watson D: Inverting papilloma of the head and neck:The UCLA update. Otolaryngol Head and Neck Surg 109:71-76, 1993 6) Buchwald C, Franzmann MB, Jacobsen GK, Lindeberg H: The presence of human papillomavirus in sinonasal papillomas, demonstra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consensus primers. Human Pathol 24(12):1354-1356, 1993 7) Buchwald C, Franzmann MB, Tos M: Sinonasal papillomas:A report of 82 cases in Copenhagen country, including a longitudinal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study. Laryngoscope 105:72-79, 1995 8) Christensen WN, Smith RRL: Schneiderian papillomas:A clinicopathologic study of 67 cases. Hum Pathol 4:393-400, 1986 9) Collins JE, Jenkins D, McCance DJ: Detection of human papillomavirus DNA sequences by in situ DNA-DNA hybridization in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and invasive carcinoma:A retrospective study. J Clin Pathol 41:289-295, 1988 10) Cromme FV, Meijer CJLM, Snijders PJF: Analysis of MHC class I and II expression in relation to presence of HPV genotypes in premalignant and malignant cervical lesions. Br J Cancer 67:1372-1380, 1993 11) Furuta Y, Shinohara T, Sano K, et al: Molecular pathologic study of human papillomavirus in fection in inverted papill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nasal cavities and paranasal sinuses. Laryngoscope 101:79-85, 1991 12) Haglund S, Lundquist PG, Cantell K, et al: Interferon therapy in juvenile laryngeal papillomatosis. Arch Otolaryngol 107:327-332, 1982 13) Hollinger PH, Rabbet WF: Late development of laryngeal and pharyngeal carcinomas in previously irradiated areas. Laryngoscope 63:105-112, 1953 14) Hyams VJ: Papillomas of the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es: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315 cases. Ann Otol Rhinol Laryngol 80:192-206, 1971 15) Kashima HK, Kessis T, Hruban RH, et al: Human papillomavirus in sinonasal papillomas and squamous cell carcinoma. Laryngoscope 102:973-976, 1992 16) Lasser A, Rothfeld PR, Shapiro RS: Epithelial papill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es. A clinicopathological study. Cancer 38:2503-2510, 1976 17) Lawson W, Ho BT, Shaari CM, et al: Inverted papilloma:A report of 112 cases. Laryngoscope 105:282-288, 1995 18) Lawson W, Le Benger J, Som P: Inverted papilloma:An analysis of 87 cases. Laryngoscope 99:1117-1124, 1989 19) Lindberg H, Fey SJ, Ottosen PD, et al: Human papilloma virus(HPV) and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Clin J Otolaryngol 13:447-454, 1988 20) Lindeberg H, Oster S, Oxlund I, et al: Laryngeal papillomas:Classification and course. Clin Otolaryngol 11:423-429, 1986 21) Lowell DM, Livolsi VA, Ludwig ME: Genital condyloma virus infection following pelvic radiation therapy:Report of seven cases. Int J Gyn Pathol 2:294-302, 1983 22) Murphy FA, Kingsbury DW: Virus taxonomy;In Fields BN, Knipe DM(eds). Virology, New York, Raven, pp 9-35, 1990 23) Nawa A, Nishiyama Y, Yamamoto N, et al: Selective suppression of human papillomavirus 18 mRNA level in HeLa cells by interferon. Biochem Biophys Res Commun 170:793-799, 1990 24) Nickoloff BJ, Basham TY, Merigan TC, et al: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recombinant γ interferons on cultured human keratinocytes. Lab Invest 51:697-701, 1984 25) Nielsen PL, Buchwald C, Nielsen LH, et al: Inverted papilloma of the nasal cavity:pathological aspects in a follow-up study. Laryngoscope 101:1094-1101, 1991 26) Ostrow RS, Manias DA, Fong WJ: A survey of human cancers for human papillomavirus DNA by filter hybridization. Cancer 59:429-434, 1987 27) Pfister H, Fuchs PG: Anatomy, taxonomy and evolution of papillomaviruses. Intervirology 37:143-149, 1994 28) Phillips PP, Gustafson RO, Facer GW: The clinical behavior of inverted papilloma of the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es:Report of 112 cases and review of the leterature. Laryngoscope 100:463-469, 1990 29) Queen C, Korn LJ: A comprehensive sequence analysis program for the IBM personal computer. Nucleic Acid Research 12:581-599, 1984 30) Respler DS, John A, Pater A: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pillomavirus from nasal inverting(schneiderian) papillomas. Ann Otol Rhinol Laryngol 96:170-173, 1987 31) Ringertz N: Pathology of malignant tumors arising in the nasal and paranasal cavities and maxilla. Acta Otolaryngol Suppl 27:31-42, 1938 32) Segal K, Atar E, Mor C: Inverting papilloma of the nose and paranasal sinuses. Laryngoscope 96:394-398, 1986 33) Shibata DK, Arnheim N, Martin WJ: Detection of human papillom virus in paraffin-embedded tissue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J Exp Med 167:225-230, 1988 34) Siivonen L, Virolainen E: Transitional papilloma of the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es:Clinical course, viral etiology and malignant transformation. ORL 51:262-267, 1989 35) Skyldberg B, Kalantari M, Karki M: Detection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in tissue block by in situ hybridization as compared with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rocedure. Hum Pathol 22:578-582, 1991 36) Smith O, Gullane PJ: Inverting papilloma of the nose:Analysis of 48 cases. J Otolaryngol 16:154-156, 1987 37) Snyder RN, Perzin KH: Papillomatosis of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inverted papilloma, squamous papilloma). Cancer 30:668-690, 1972 38) Syrjanen KJ, Pyrhonen S, Syrjanen SM: Evidence suggesting human papillomavirus(HPV) etiology for the squamous cell papilloma of the paranasal sinus. Arch Geschwulstforsch 53:77-82, 1983 39) Syrjanen S, Happonen RP, Virolainen E, et al: Detection of human papillomavirus(HPV) structural antigen and DNA types in inverted papillomas and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nasal cavities and paranasal sinuses. Acta Otolaryngol(Stockh) 104:334-341, 1987 40) Viac J, Soler C, Chardonnet Y, et al: Expression of immune associated surface antigens of keratinocytes in human papillomavirus-derived lesions. Immunobiology 188:392-402, 1993 41) Walsh TE, Beamer PR: Epidermoid carcinoma of the larynx occurring in two children with papiloma of the larynx. Laryngoscope 60:1110-1124, 1950 42) Ward N: A mirror of the practice of medicine and surgery in the hospitals of London:London Hospital. Lancet 2:480-482, 1854 43) Weber RS, Shillitoe EJ, Robbins KT, et al: Prevalence of human papillomavirus in inverted papilloma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14:23-26, 1988 44) Weissler MC, Montgomery SK, Turner PA: Inverted papilloma. Ann Otol Rhinol Laryngol 95:215-221, 1986 45) Woodworth CD, Simpson S: Comparative lymphokine secretion by cultured normal human cervical keratinocytes, papillomavirus-immortalized, and carcinoma cell lines. Am J Pathol 142:1544-1555, 1993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