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0(7); 1997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7;40(7): 960-964.
Conservation Surgery for Hypopharyngeal Cancer.
Geon Choi, Seung Chul Oh, Tae Ok Ko, Jae Hyung Park, Kwang Yoon Jung, Jong Ouck Choi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하인두암의 보존적 수술
최 건 · 오승철 · 고태옥 · 박재형 · 정광윤 · 최종욱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Hypopharyngeal cancer was known to be more aggressive, extensive, and clinically malignant than laryngeal cancer, not generally considered suitable for conservative surgery in the past. Ogura, et al(1960) reported little was gained by sacrificing the entire larynx in many cases of hypopharyngeal cancer. OBJECTIV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complications and results of conservation surgery for hypopharynge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six patients treated by conservation surgery for early hypopharyngeal cancer was performed. The patients had squamous cell carcinomas at various subsites, including the medial wall of piriform sinus(three patients), posterior hypopharyngeal wall(two patients), and lateral wall of hypopharynx(one patient). Stage of primary tumor showed T1 of 4 patients and T2 of 2 patients. Partial laryngopharyngectomy was performed for three patients with medial wall of piriform sinus, median labiomandibular approach for two patients with posterior wall of hypopharynx and partial pharyngectomy via lateral pharyngotomy for a patient with lateral wall of piriform sinus. Four patients with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underwent radical neck dissection.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were done for all patient with 5500 to 6700 cGy.
RESULTS:
Complications of surgical procedure showed two patients with aspiration and a patient with pharyngocutaneous fistula. Despite of shorterm follow-up period all but one patient showed no evidence of disease. A patient is alive with distant metastasis.
CONCLUSION:
Conservation surgery seems to be effective surgical method to control the early hypopharyngeal cancer.
Keywords: Hypopharyngeal cancerConservation surgeryPartial laryngopharyngectomyPartial pharyngectomyMedian labiomandibular golssotomy
서론 하인두암은 후두암에 비하여 공격적이고 광범위한 침윤을 보이는 등 악성도가 심하여 하인두암의 수술적 치료는 과거로 부터 후두를 희생하는 수술법을 선택 시행하여 왔으나 Ogura등1)이 하인두암의 적지 않은 예에서 후두를 보존하는 보존적 수술을 시행하여도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보고를 한 이래 하인두암의 보존적 수술법이 발전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인두암으로 진단받고 보존적 수술을 시행한 6례의 수술법 및 술후 경과를 비롯한 임상양상을 검토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91년에서 1995년까지 하인두의 악성종양으로 진단되어 보존적 수술을 시행하였던 6례를 대상으로 하여 술후 합병증, 후두 및 음성의 보존 여부, 생존 여부 등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들의 연령은 55세에서 65세였고 전례가 남자이었으며, 술전 병리조직학적 진단은 전례에서 편평상피세포암종(squamous cell carcinoma)이었다. 원발병소의 위치는 이상와의 내벽(medial wall of piriform sinus)이 3례, 하인두 후벽(posterior wall of hypopharynx) 이 2례, 이상와의 측벽(lateral wall of piriform sinus)이 1례이었다. 이상와 내벽의 종양3 례는 이상와 첨부(apex)를 침범하지 않고 종양이 이상와 첨부에서 0.5cm 이상 떨어진 예들이었으며 대상 환자 4례의 원발 병소의 병기는 T1이 4례 9(환자 3, 4, 5, 6) T2가 2례(환자 1, 2)(이하 병기는 AJCC병기 2)에 준함)였으며 경부전이는 4례(환자 2, 4, 5, 6)에서 있었고 N2a가 3례, N2b가 각각 1례이었다(Table 1). 수술방법은 이상와내벽의 종양 3례에서 후두인두부분적출술(partial laryngopharyngectomy)(Fig. 1), 하인두 후벽의 종양 2례에서 정중구순하악설절개술(Fig. 2), 하인두 측벽의 종양 1례에서 측인두절개술을 통한 인두부분적출술(partial pharyngectomy via lateral ph aryngotomy)(Fig. 3)을 각각 시행하였으며 종양의 절제연은 0.5cm 이상으로 하였다. 경부전이가 있었던 4례에서 병변측의 근치적 경부곽청술(radical neck di ssection)을 시행하였다. 술후방사선치료는 전례에서 시행하였으며 술후 약 6주에 시작 원발부위 및 양측 경부에 5500cGy에서 6700c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Table 2). 이들 환자는 최소 12개월간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 1. 술후 합병증 후두인두부분적출술을 시행한 3례중 2례에서 흡인(aspiration)(환자2,4)이 발생하였고 1례(환자 5)에서 인두피부누공(pharyngocutaneous fistula)이 발생하였으나 고식적인 치료로 극복되었다(Table 3). 2. 추적관찰 Table 3에서 보듯이 추적관찰 중 전례에서 후두 및 음성의 보존이 가능하였으며, 환자 1은 3년간 무병 추적관찰하였으나 그후 추적관찰에 실패하였다. 나머지 환자에서도 추적관찰 기간은 16개월에서 4년으로 짧았으며 환자 5에서 간으로의 원격전이가 술후 17개월에 발견되어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중이며 4례에서는 재발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고찰 후두암에서는 후두의 일부를 보존하는 보존적 수술이 하인두암에서 보다 일찍 부터 발전 시행되어 왔으나4) 하인두암은 후두암에 비하여 나쁜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와서3) 하인두암의 수술적 방법은 후두를 희생시키는 술식이 후두암에서 보다 오랫동안 시행되었다. 1960년 Ogura등1)5)은 이상와의 내벽에 발생한 종양에서 후두인두부분적출술을 하인두의 측벽에 발생한 종양에서 측인두절개술을 통한 인두부분적출술을 각각 소개하였으며 Martin등6)은 인두후벽에 발생한 종양을 정중구순하악설절개술을 사용하여 적출한 예를 보고하여, 최근까지 후두인두부분적출술, 측인두절개술을 통한 인두부분적출술 및 정중구순하악설절개술의 세가지 수술법이 하인두암의 발생위치에 따라 보존적 수술법의 기본 술기로 알려져 있다.7) 그러나 최근에는 수술적 기법의 발전으로 보다 진행된 하인두암에서도 후두를 보존하는 술식이 시행되고 있다.8) 본 연구에서는 원발암의 병기가 T1 4례와 T2 2례 등 조기암에서 시행하였으며 원발병소의 위치에 따라 이상와 내벽의 종양 3례에서 후두인두부분적출술, 하인두 후벽의 종양 2례에서 정중구순하악설절개술, 하인두 측벽의 종양 1례에서 측인두절개술을 통한 인두부분적출술를 각각 시행하였으며 측인두절개술을 통한 인두부분적출술에서 수술로 인한 결손은 과거에 시행되었던 스텐트, 피부이식 및 근피판을 이용한 재건9) 대신에 스텐트의 삽입 없이 전완피판유리이식술(forea rm free flap)을 사용 재건하였으며 술후 합병증은 관찰할 수 없었다. 하인두에는 림프조직이 풍부하여 조기에 경부전이를 일으켜서 65%에서 80%의 환자가 진단시 경부전이가 발견되며10)11)12) 경부전이가 없는 예를 선택적 경부곽청술(selective neck dissection)을 시행하여 30%에서 40%의 병리조직학적 경부림프절 전이가 발견되는 것이 보고되었다.11)12) 본 연구에서도 원발암의 병기가 T1 또는 T2의 조기암인데도 불구하고 6례중 4례에서 경부전이가 있어 이들에서 근치적 경부곽청술을 시행하였다. 또한 이들을 포함한 전례에서 술후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Table 1). 술후 합병증으로는 후두인두부분적출술에서 흔히 나타나서 인두피부누공, 연하장애 또는 흡인등이 올 수 있으며8) , 측인두절개술을 통한 인두부분적출술에서도 유사한 합병증이 올 수 있다.7) 본 예들에서는 수술로 인한 합병증은 후두인두부분적출술을 시행한 3례에서 발생하였으며 2례에서 흡인, 1례에서 인두피부누공이 발생하였으나 고식적인 치료로 극복되었다. 흡인이 극복된 기간은 경구식이를 시작한 후 2주와 3주에 극복되었고, 인두피부누공은 술후 3주에 극복되었다. 이상와에 발생한 암의 치료성적은 Ogura등13)의 보고에 의하면 술전방사선치료후 후두인두부분적출술을 실시한 예가 59%, 후두인두전적출술(total laryngopharyngecomy)를 실시한 예에서 36%의 3년 생존률을 보고하여 후두의 보존적 수술에서 3년 생존률이 높았으나 후두인두전적출술을 시행한 예들의 병기가 후두인두부분적출술을 시행한 예들의 병기보다 진행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Collins등8)은 17례의 T3 또는 T4의 원발병소가 진행된 암을 포함한 피열후두개추벽(aryepiglottic fold), 이상와 및 인두후두개추벽(pharyngoepiglottic fold)에 발생한 암에서 광범위 후두인두부분적출술(extended partial laryngopharyngectomy)및 술후 방사선치료를 실시한 24례의 치료결과는 58%의 생존률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T1 또는 T2의 조기 원발암을 가진 예들이었고 적은 대상과 짧은 추적기간이었지만 1례에서 원격전이가 발견되었으며 나머지 예는 재발의 증거가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결론을 얻는데는 더욱 많은 대상군과 이들에서 장기간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타연구에서 언급되었듯이 하인두암에서도 후두를 보존하는 보존적 수술을 우선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특히 컴퓨터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등의 발달로 종양의 침범을 평가하는 기술의 발전으로 점차 후두암에서 보존적 수술의 적응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요약 이상와 내벽(3례), 하인두 후벽(2례), 하인두 측벽(1례)에서 발생한 T1 또는 T2종양에서 각각 3례에서 후두인두부분적출술, 2례에서 정중구순하악설절개술, 나머지 1례에서 측인두절개술을 통한 인두부분적출술을 각각 시행하였으며 경부전이가 있었던 4례에서 근치적 경부곽청술을, 전례에서 술후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1년에서 4년으로 짧았으나 추적관찰 중 전례에서 후두 및 음성의 보존이 가능하였고, 6례중 5례에서 재발소견은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문헌고찰에서 최근에는 진행된 원발암을 가진 후두암에서도 후두를 보존하는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여 비교적 좋은 결과를 얻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어 향후 하인두암의 보존적 수술의 적응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REFERENCES
1) Ogura JH, Jurema AA, Watson RK:Partial laryngopharyngectomy and neck dissection for piriform sinus cancer:Conservation surgery for piriform sinus cancer. Laryngoscope. 1960;70:1399-1417 2) Bears OH, Henson DE, Hutter RVP, Myers MH: Manuals for staging for cancer. 4th ed. Philadelphia, Pa:JB Lippincott, 1992 3) Ogura JH, Biller HF, Calcaterra TC, Davis WH: Surgical treatment of carcinoma of the larynx, pharynx, base of tongue and cervical esophagus. Internatl Surg. 1969;1:29-40 4) Alonso JM: Conservation surgery of cancer of larynx. Trans Am Acad Ophthal Otol. 1947;43:633-642 5) Ogura JH, Watson RK, Jurema AA: Partial pharyngectomy and neck dissection for posterior hypopharyngeal cancer:Immediate reconstruction with preservation of voice. Laryngoscope. 1960;70:1523-1534 6) Martin H, Tollefsen HR, Gerold FP: Median labiomandibular glossotomy. Trotter's median(anterior) translingual pharyngotomy. Am J Surg. 1961;102:753-759 7) Thawley SE, Sessions DG: Surgical therapy of hypopharyngeal tumors. In Thawley SE, Panje WR. Comprehensive management of head and neck tumors. 1st ed.:WB Sauders, 1987:774-812 8) Collins SL, Bastin RW: Partial laryngopharyngectomy for advanced cancers of the epilarynx, paraglottic space, and piriform sinus. Proeedings of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ead and neck cancer. 1996:350-357 9) Ogura JH, Watson RK, Jurema AA: Partial pharyngectomy and neck dissection for posterior hypopharyngeal cancer:Immediate reconstruction with preservation of voice. Laryngoscope. 1960;70:1523-1534 10) Carpenter RJ, DeSanto LW, Devine KD, Talor WF: Cancer of the hypopharynx. Arch Otolaryngol. 1976;102:716-721 11) Shah JP, Shah AR, Spiro RH, Strong EW: Carcinoma of the hypopharynx. Am J Surg. 1976;132:439-443 12) Lefebvre JL, Castelain B, DeLaTorre JC, Delle-Deroide A, Vankemmel B: Lymph node invasion in hypopharynx and lateral epipharynx:A prognostic factor. Head Neck Surg. 1987;10:14-18 13) Ogura JH, Marks JE, Freeman RB: Results of conservation surgery for cancers of the supraglottis and piriform sinus. Laryngoscope. 1980;90:591-600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