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0(7); 1997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7;40(7): 1059-1062.
Two Cases of Ceruminous Adenoma Arising from the External Auditory Canal.
Shi Chan Kim, Ho Ki Lee, Sung Yoon Ahn, Ju Hyoung Lee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외이도에 발생한 이구선종 2례
김시찬 · 이호기 · 안성윤 · 이주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The external auditory canal is composed of skin, subcutaneous tissue and gland. The mass originated from external auditory canal can produce otorrhea and some obstructive symptoms. Ceruminoma is a broad term expressing the tumor arising from the ceruminous gland. The ceruminous gland tumors is assigned to one of four categories(adenoma, pleomorphic adenoma, adenocystic carcinoma & adenocarcinoma) by Wetli's protype. The wide local excision is a treatment of choice for all benign ceruminous gland tumors except the malignant tumors needed combined treatment modalities as surgery and radiotherapy. We report our recent experience of two ceruminous adenomas causing ear canal obstruction & otorrhea.
Keywords: Ceruminous adenomaExternal auditory canal
서론 외이도에 생긴 이구선종은 주로 종물로부터의 이루나 종물에 의한 소리의 전도를 방해하는 증상을 주로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구선종은 특히 외이도에서는 발생빈도가 낮아 그 특성에 대한 많은 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과거에 통칭 이구선종으로 불려왔던 이구선에서 생긴 종물은 이구선이 한선으로만 구성된 것이 아닌 에포크린 한선의 특성을 같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새로운 분류에 기초를 마련하였다. 최근 저자들은 이루를 동반한 외이도의 이구선에 발생한 이구선종 2례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증례 1: 환자:윤O원, 여자 60세. 주소:수 년전부터의 좌측 이루및 종물. 과거력:고혈압으로 약물 치료중임. 그외 특기사항 없음. 현병력:환자는 수 년전부터의 좌측 이루가 계속되어 내원함. 이학적검사:좌측 외이도 후벽에 노란 가피가 덮혀있는 종물이 관찰됨. 청력검사:순음청력검사상 좌측귀는 45dB의 기도역치와 35dB의 기도-골도역치차이를 보임. 전산화단층촬영검사:1.5cm 크기의 연조직종물이 외이도의 외측을 막고 있으며 외이도의 외측에 국한된 양상을 보임. 중이와 내이는 정상소견을 보임. 치료 및 경과:전신마취하에 이후방절개술을 통해 종물의 부착부위까지 노출시킨후 종물의 부착부위를 절개, 제거한 후 외이도 성형술을 시행함. 술후 19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재발의 증거는 없음. 병리조직검사:육안적 소견은 1.5×1.5×1.0cm 크기의 둥근 모양의 경성종물이었으며(Fig. 1. A) 종물의 절개면은 황백색의 반짝이는 양상을 보임(Fig. 2). 현미경소견상 점액질의 기질이 특히 세포의 주위에서 관찰되었고, 세포핵은 작고 각진모양이고 세포질에는 공포가 있으며 세포는 집락을 형성하고 있는 전형적인 이구선종이었다(Fig. 3, 4). 증례 2: 환자:박O현, 남자 42세. 주소:1년전부터의 좌측 외이도 종물. 과거력:특기사항 없음. 현병력:환자는 내원 1년전부터 좌측 외이도 종물이 있어 내원함. 이학적검사:외이도 후벽에 종물이 관찰됨. 고막은 관찰되지 않았음. 청력검사:순음청력검사상 정상을 보임. 전산화단층촬영검사:1cm 크기의 종물이 외이도의 후벽에 국한되어있음. 중이와 내이는 정상소견을 보임. 치료 및 경과:입원후 종물의 부착부위를 절개하여 제거한 후 피부이식을 시행함. 술후 8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재발의 증거는 없음. 벙리조직검사:육안적으로는 0.8×0.7×0.6cm 크기의 경계가 명확한 둥글고 경성인 황회색 종물이었으며 종물의 절개면은 여러군데의 황갈색 점액질이 있는 백색의 고형질로 이루어져 있어 전형적인 이구선종이었다(Fig. 1. B). 고찰 이구선종은 이비인후과 영역에서는 매우 드문 질환이며 1894년 Haug에 의해 첫 보고된 이래 국내에서는 1982년 이등이 보고한 1례가 있다.1) 이구선종양의 빈도는 흔하지는 않지만 Pulec등은 이구선 종양 총 37중 24례가 선양낭포암종(adenoid cystic carcinoma), 6례가 선종(adenoma), 5례가 선암종(adenocarcinoma), 그리고 2례에서 점액표피양암종(mucoepidermoid carcinoma)으로 이구선종양의 가장 빈도가 많은 형은 선양낭포암종이고 가장 적은 형은 다형성선종이라고 보고하였다.2) 또한 이구선종의 발생연령은 10대에서 80대까지 다양하며 남녀비의 차이는 없지만 젊은 나이에 발생할수록 악성일 가능성이 증가한다고 한다.3) 이구선종양의 증상은 주로 종물의 크기와 외이도 폐쇄의 정도에따라 난청과 이루등을 동반하고 궤양을 형성하기도하며 출혈이 되기도한다. 이구선종양의 진단과 행태는 예전부터 많은 혼동이 있었다.3) 이러한 대부분의 혼동은 이구선에서 생기는 모든 종물을 이구선종(ceruminoma)이라는 한가지 용어로 사용해오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또한 한선에서 생겼다하여 한선종(hidradenoma) 으로 불리우기도 하였다.4) 그후 Wetli등은 1950년부터의 문헌고찰을 통해 이구선에 생기는 종물의 분류를 현미경적 소견, 행태, 치료반응에 따라 4가지로 제안하였는데 즉 (1) 선종 (2) 다형성선종 (3) 선양낭포암종 (4) 선암종으로 나누었다.5) 이중 처음 두가지는 양성종양이고 나머지는 악성으로 분류하여 양성과 악성의 비를 2.5:1로 보았다.5) 외이도에는 이구선외에도 피지선(sebaceous gland)이 있어 이 두 분비선이 내는 분비물이 곧 이구(cerumen)이다.6) 또한 외이도를 산성으로 만들고 라이소자임과 면역글로블린을 함유하고 있어 항균작용을 하게 된다.3) 특히 이구선은 주로 외이도의 연골부에 많이 존재하나 골부분에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3)7)8) Wetli는 미세구조단계에서 이구선이 한선임을 보여주었으나 Main등은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apocrine과 eccrine의 분비형태를 가진다고 설명하였다.8) 점액표피양암종과 순수한 eccrine종물인 양성에크린원주종(benign eccrine cylindroma) 뿐만 아니라, 얼굴과 두피에서 자주 관찰되는 유두상한선낭포선종(syringocystadenoma papilliferum)도 외이도에서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이구선이 단순히 한선만이 아니고 에크린선의 성분도 같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준다.9) 이구선종양중 이구선종(ceruminous adenoma)의 증상은 이차적 외이도염이 없다면 통증은 거의 없고 난청도 외이도 폐쇄와 감염에 관계되며 외이도 진주종이 종물뒤로 생길 수 있다. 조직학적으로 분화가 잘 되어있고 포상(acinar)또는 관상(trabecular)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비종양성인 이구선과 비슷하게 증식하므로 종양과 정상 이구선과의 이행부위에서의 감별과 염색체분열의 이상 및 세포의 이형성등이 감별점이다.10) 또한 2례의 피부 한선종과 관련된 이구선종이 보고되었다.11) 진단은 변연절제를 포함한 생검이며 더 이상의 치료는 필요없다. 다형성선종은 침샘에서 생기는 타액선분리종(choristoma)과 감별이 필요하다.12) 선양낭포암종과 이구선암종과 같은 악성의 경우에는 외이도 뿐아니라 주위 조직을 넓게 전적출한 후 방사선치료를 요한다. 감별진단해야 할 양성종양으로 외골증, 연골종, 점액종, 연골피부염, 혈관종, 근종, 지방종, 섬유종이 있으며, 악성종양으로는 육종, 기저세포암과 구별하여야 한다. 본 예에서는 동통이나 혈성이루보다는 수양성이루와 전도성 난청의 특징을 보였고 조직학적 진단에서 이구선종물 중 주위조직 침습이 없는 선종(adenoma)으로 판명되었으며, 충분한 변연절제만으로 치료가 가능하였다. 요약 이구선종은 발생빈도가 높지는 않지만 외이도에 발생하여 이루, 동통및 난청을 나타낼 수 있어 조직학적 진단후에는 변연절제를 포함한 적출및, 술후 주기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들은 최근에 이루를 동반한 외이도의 이구선종 2례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FERENCES
1) Lee KY:Ceruminoma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Korean J Otolaryngol. 1982;25(3):543-546 2) Pulec JL:Glandular tumour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Laryngoscope. 1977;87(10):1601-1612 3) Mansour P:Ceruminous gland tumours:reappraisal. Journal of Laryngology and Otology. 1992;106:727-732 4) Johnstone JM, Lennox B, Watson AJ:Five cases of hidradenoma of the external auditory meatus:so called ceruminoma. Journal of Pathology and Bacteriology. 1957;73:421-427 5) Wetli CV, Pardo V, Millard M, Gerston K:Tumours of ceruminous glands. Cancer. 1972;29:1169-1178 6) Hawke M, Nostrand PV:Eccrine hidrocystoma of the external ear canal. Journal of Otolaryngology 1987;16(1):43-45 7) Hicks GW:Tumors arinsing from the glandular structure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Laryngoscope. 1983;93:326-340 8) Main T, Lim D:The human external auditory canal secretory system- and ultrastructural study. Laryngoscope. 1976;86:1164-1176 9) Wilson RS, Johnson JT:Benign eccrine cylindroma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Laryngoscope. 1980;90:379-382 10) Dehner LP, Chen KTK:Primary Tumour of the External and Middle ear. Arch Otolaryngol. 1980;106:13-19 11) Habib MA:Ceruminoma in association with other sweat gland tumours. Journal of Laryngology and Otology. 1981;95:415-420 12) Saeger KL, Gruskin P, Carberry JN:Salivary gland choristoma of the middle ear. Arch Pathol Lab Med. 1982;106:39-40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