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2(10); 1999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9;42(10): 1264-1268.
Effects of External Nasal Dilators on Nasal Respiration and Patency in Patients with Deformity of the Nasal Septum: An Acoustic Rhinometric Study.
Soon Kwan Hong, Yun Joung Kim, Chong Nahm Kim, Sung Min Chung, Sung Wan Byun, Chun Dong Kim, Hye Jung Shin, Sun Ok Yoon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soonkwan@unitel.co.kr
비중격기형 환자에서 외비확장구가 비호흡 및 비개존성에 미치는 영향:음향비강통기도 검사에 의한 연구
홍순관 · 김윤정 · 김종남 · 정성민 · 변성완 · 김춘동 · 신혜정 · 윤선옥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제어: 외비확장구비호흡비개존성비중격기형음향비강통기도 검사.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Some types of deformities of the nasal septum (DNSs) interfere with the nasal valve function. External nasal dilators (ENDs) were developed to improve the nasal airway by mechanically dilating the nasal val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NDs on nasal respiration and patency in patients with DNS.
MATERIALS AND METHODS:
Fifty-four patients with DNS (37 males and 17 females, aged 18 to 46 years) without other sinonasal diseas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required to assess their own sensation of nasal respiration on a 100 mm visual analog scale. Minimal cross-sectional areas (MCAs) and volumes of 0 to 5 cm from the nostril (V 5s) of both nasal cavities were measured by acoustic rhinometry, respectively. All measurements before application of an END were compared with those 5 minutes after application.
RESULTS:
The subjective sensation of nasal respiration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application of an END in both male and female. The END increased MCA and V5 significantly in both sex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anges in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parameters.
CONCLUSION:
ENDs offer an effective, nonsurgical therapeutic approach in the management of DNS by improving nasal respiration and by increasing MCA and nasal cavity volume. However,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this improvement in nasal patency does not always coincide with the improvement in subjective sensation of nasal respiration.
Keywords: External nasal dilatorNasal respirationNasal patencyNasal septal deformityAcoustic rhinometry
서론 사람이 비호흡을 할 때 비강의 전반부, 특히 비판(nasal valve) 부위의 저항은 전체 기도 저항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1)2) 외비확장구는 기계적으로 비판 부위를 확장시킴으로써 비호흡을 개선시키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1)2) 한편 비중격기형의 일부 유형에서는 비판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3) 실제 임상에서 많은 비중격기형 환자가 비폐색을 호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비중격기형 환자에서 외비확장구를 사용하여 비판 부위를 확장시키면 호흡기류에 대한 비저항이 감소하여 비호흡능력이 개선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들은 비강의 기하학적 구조면에서 백인 및 흑인과 차이가 있는 한국인에서 외비확장구가 정상 성인의 비호흡 및 비개존성에 미치는 영향4)과 코골음 또는 수면무호흡 환자에서의 효과5)에 관하여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연구의 연속으로 저자들은 비중격기형 환자에서 외비확장구의 효과를 검증할 필요를 느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중격기형이 있는 한국 성인 환자에서 외비확장구가 비호흡과 비개존성에 미치는 영향 및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대상 1998년 1월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목동병원 이비인후과에 비폐색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병력, 비강의 이학적 검사 및 내시경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상 다른 비강 및 부비동 질환이 없이 비중격기형을 가진 연속된 한국 성인 환자 54명(남자 37명;18~46세, 평균 27.2세, 여자 17명;18~46세, 평균 32.9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최근 3개월 내 항히스타민제, 비점막혈관수축제, 스테로이드제 등의 약물 투약 병력이 없고 단순 부비동 X-선 검사 소견이 정상인 비흡연 환자들이었다. 방법 외비확장구(Breathe Right nasal strips;CNS, Inc., Chanhassen, MN) 착용 전과 착용 5분 후에 비호흡에 대한 주관적 느낌 및 음향비강통기도 검사 상의 비강 최소 단면적(minimal cross-sectional area, 이하 MCA라 함), 비공으로부터 후방 5 cm까지의 비강용적(이하 V 5라 함)을 구하였다. 피부의 불순물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알콜솜으로 콧등을 깨끗하게 닦고 잘 말린 뒤 외비확장구 하연이 비익 주름에 일치하도록 붙였다.4) 비호흡에 대한 주관적 느낌은 100 mm visual analog scale(이하 VAS라 함)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종이에 그려진 100 mm 선을 피검자에게 보여주고 비호흡의 편안함을 느끼는 정도에 있어서 0 mm는 완전히 코가 막힌 상태, 100 mm는 전혀 막히지 않은 상태라고 피검자에게 상상케 한 후, 피검자의 비호흡 느낌을 직접 연필로 100 mm 선상에 표시하게 한 다음 0 mm에서 그 표시점까지의 거리를 자로 측정함으로써 구하였고, 단위는 편의상 mm대신 점으로 나타내었다. 음향비강통기도 검사는 Eccovision Acoustic Rhinometer(Model AR-1003, Hood Laboratories, Pembroke, MA)를 이용하여, 피검자를 편안한 상태에서 의자에 바르게 앉게 하고 피검자 몸과 nosepiece의 장축이 약 15도 정도를 유지하게 한 후 호흡을 멈춘 상태에서 검사하였다. Nosepiece를 비전정부에 밀착하되 비전정부가 찌그러지지는 않도록 주의하였다. 비강의 협측 및 광측의 MCA와 V5를 각각 측정하여 구한 후 양측의 합도 구하였다. 협측은 MCA가 적은 쪽으로 정의하였다. 100 mm VAS로 구한 비호흡의 주관적 느낌, 음향비강통기도 검사로 구한 MCA와 V5, 이상 3가지 변수에 대하여 외비확장구 착용 전과 착용 5분 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5% 유의수준에서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통계분석을 남녀에서 각각 시행하였고, 3가지 변수의 변화정도에 있어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는 Mann-Whitney test로 검증하였다. 또한 주관적 변수(비호흡의 주관적 느낌)와 객관적 변수(MCA, V5)의 변화정도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5% 유의수준에서 부분상관관계분석을 남녀에서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비호흡에 대한 주관적 느낌 남자에서는 외비확장구 착용 전에 44.7±24.6점, 착용 후 65.2±25.5점으로 20.5±21.3점만큼 개선되었고 여자에서는 39.2±25.1점, 64.8±21.6점으로 25.7±22.0점만큼 개선되었으며 이 착용전후의 차이는 남녀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Table 1). 그러나 그 개선된 정도에 있어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Mann-Whitney test). 음향비강통기도 검사 상의 MCA와 V5 MCA의 값은, 남자에서는 착용 전 1.12±0.32 cm2, 착용 후 1.27±0.38 cm2로 0.15±0.26 cm2만큼 증가하여 약 15.6%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중 협측은 0.11±0.16 cm2만큼 증가하였고(약 32.5%의 증가율) 광측은 0.04±0.14 cm2만큼 증가하였다(약 8.9%의 증가율). 여자에서는 착용 전 0.99±0.42 cm2, 착용 후 1.18±0.51 cm2로 0.19±0.25 cm2만큼 증가하여 약 24.1%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중 협측은 0.08±0.11 cm2만큼 증가하였고(약 32.3%의 증가율) 광측은 0.11±0.17 cm2만큼 증가하였다(약 22.8%의 증가율). 이 착용전후의 차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Table 1). 그러나 협측과 광측의 증가된 정도간에 유의한 차이는 남녀 모두에서 없었다(p>0.05, Mann-Whitney test). 또한 MCA의 증가된 정도에 있어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Mann-Whitney test). V5의 값은, 남자에서는 착용 전 10.51±2.41 cm3, 착용 후 11.83±3.50 cm3로 1.32±2.58 cm3만큼 증가하여 약 13.4%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중 협측은 0.51±1.62 cm3만큼 증가하였고(약 13.9%의 증가율) 광측은 0.81±1.43 cm3만큼 증가하였다(약 15.8%의 증가율). 여자에서는 착용 전 9.29±3.65 cm 3, 착용 후 10.82±3.68 cm3로 1.53±1.69 cm3만큼 증가하여 약 21.1%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중 협측은 0.38±0.96 cm3만큼 증가하였고(약 11.0%의 증가율) 광측은 1.15±1.50 cm3만큼 증가하였다(약 34.0%의 증가율). 이 착용전후의 차이는 남녀 각각의 협측을 제외하고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Table 1). 남녀 모두 협측에서 착용전후 V5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기 때문에 협측과 광측의 증가된 정도간의 통계학적 비교는 시행하지 않았다. 한편 V5의 증가된 정도에 있어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Mann-Whitney test). 주관적 변수와 객관적 변수의 변화정도 간의 상관관계 비호흡의 주관적 느낌의 개선정도와 MCA(협측, 광측 및 양측의 합)의 증가정도, 비호흡의 주관적 느낌의 개선정도와 V5(광측 및 양측의 합)의 증가정도간에는 남녀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남녀 모두 협측에서 착용전후 V5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기 때문에 비호흡의 주관적 느낌의 개선정도와 협측 V5의 증가정도간에는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지 않았다. 고찰 이상적으로 반듯한 비중격은 거의 드물고 정상인에 있어서도 약간의 만곡은 존재한다. 이와 같이 다소 생리적인 상태에 만곡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그 만곡으로 인하여 증상이 유발되거나 비강 속에 어떠한 기능적 장애가 일어날 때 기형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나6) 흔히 혼용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대상 환자의 병적 질환을 비중격기형으로 표현하였다. Mladina 등3)6)은 비중격기형을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는데 2형과 4형에서는 비판 부위에 수직의 비중격만곡이 있으면서 정상적인 비판 기능에 장애가 있다고 하였고 인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3형 혹은 1형 다음으로 이러한 유형이 많다고 하였다. 비판은 비강내에서 가장 좁은 부위로 외비의 외측 비연골과 하비갑개의 전단부, 그 내측의 비중격으로 이루어진 삼차원적 구조의 비강내 기도를 말한다.7) 비판은 전체 기도 저항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1)2) 저항은 유체가 흐르는 관의 직경의 4승에 반비례하므로(Poiseuille의 법칙) 비판이 조금만 넓어져도 전체 기도 저항은 감소하게 된다. 또한 비강내 호흡기류 속도는 직경이 감소하면 증가하는데(Bernoulli 정리) 속도가 빠를수록 더 심한 와류(turbulent flow)가 형성되고 와류는 층류(laminar flow)보다 저항을 더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 따라서 비판 부위가 넓어지면 층류가 좀더 증가하여 비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외비확장구는 비판 부위를 확장시킴으로써 비호흡을 개선시키고자 개발되었다. 외비확장구의 원리는 그 끈적거리는 내면이 콧등의 피부에 부착되고 외측의 탄력있는 플라스틱 조각이 펴지려고 함으로써 기계적으로 비판 부위를 확장시킨다는 것이다.1)2) 캐나다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보면,1) 외비확장구는 제 1 및 제 2 절흔의 단면적, 비공에서 4 cm까지의 비강용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주로 비강의 앞 부위, 특히 비판 부위를 넓게 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Ng 등9)의 연구를 보면, 외비확장구를 착용한 경우 비판 부위에 해당하는 단면적이 의미있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외비확장구는 비중격기형의 일부 유형과 같이 비판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경우 비폐색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외비확장구를 부착하고 그 효과가 충분히 나타날 수 있는 약간의 시간을 임의적으로 5분이라고 간주한 것 외에, 외비확장구 착용 5분 후 측정을 실시한 특별한 이유는 없다. 비슷한 실험을 시행한 다른 연구들2)9)10)에서도 착용 몇 분 후에 측정하였다는 구체적 언급은 찾아 볼 수 없었다. Roithmann 등10)은 비중격기형 환자에서 외비확장구 착용 후 비호흡의 주관적 느낌과 MCA가 의미있게 개선되었다고 보고하였고 정상인이나 점막질환 환자보다 비중격기형 환자에서 그 개선 정도가 현저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외비확장구 착용 후 비호흡의 주관적 느낌, MCA 및 V5가 의미있게 증가하여 이들10)과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다만 Roithmann 등10)의 연구에서는 MCA 증가율이 약 77.4%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15.6~24.1%로써 차이를 볼 수 있다. 또한 한국 정상인에서 외비확장구 착용 후 MCA 증가율은 20.5~21.1%4)로써 비중격기형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15.6~24.1%와 거의 유사한데 이점도 Roithmann 등10)의 결과와는 차이는 있는 것이다. 이 차이점은 백인과 동양인의 외비 형태가 다르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즉 비익에서의 외비 폭을 외비의 높이로 나눈 횡적 비지수(transverse nasal index)가 백인(0.75)보다 동양인(0.91)이 더 크다는 점11)12)과 외비확장구는 그 하연이 비익 주름에 놓이도록 붙여져서 탄력을 가진 플라스틱 조각에 의해 비판 부위를 확장시킨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 외비확장구는 동양인보다 백인과 같이 오뚝한 코에서 비판 부위를 넓히는 효과가 더 클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흑인의 횡적 비지수(1.01)는 동양인보다 더 크므로11)12) 흑인에서의 외비확장구 효과는 동양인보다 더 떨어질 것으로 추정되는데 실제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 2)4)에서 이같은 점을 볼 수 있다. 한편 외비의 피부 두께도 외비확장구의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얇은 피부에서 외비확장구의 효과가 더 클 것으로 추정되나 본 연구에서는 피부 두께를 측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찰은 할 수 없고 이 부분은 추후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외비확장구는 비중격기형의 협측, 광측 및 양측 MCA의 합을 모두 의미있게 증가시키나 V5에 있어서는 광측 및 양측의 합만을 의미있게 증가시키고 협측 V5에 대하여는 유의한 효과를 주지 않았다. 이에 대한 해석으로는 다음의 두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협측의 정의를 MCA가 작은 쪽으로 정의하였기 때문에 V5와 관련되어서는 실제로 비강이 넓은 쪽이 협측의 V5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을 가능성이다. 둘째, 외비확장구는 비판 부위에 주로 작용하여 비강 전반부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데 협측에서는 그 증가정도가 전체 비강 용적증가에 별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기 때문일 가능성이다. 그러나 협측에서의 V5의 증가정도는 5%에 매우 근접하는, 즉 통계학적으로 시사적인(statistically suggestive) 유의수준(0.061 및 0.056)을 갖고 있어서 환자 수를 늘릴 경우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도 있다. 한편 외비확장구가 MCA를 증가시키는 정도는 비록 협측에서의 효과(32.3~32.5%)가 광측(8.9~22.8%)에서보다 더 컸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외비확장구의 이러한 효과는 양측 모두에 동등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외비확장구가 비호흡의 주관적 느낌, MCA 및 V5에 미치는 영향은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정상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4)와 같은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 주관적 변수와 객관적 변수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는데 이같은 결과는 정상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4)와 같으며 정상 성인에서 비점막수축제 분무 후 음향비강통기도 검사 상의 변화와 비호흡의 주관적 느낌의 변화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연구보고13)와도 비슷한 결과이다. 즉 비강의 이학적 소견을 포함하여 객관적인 검사소견과 주관적 증상정도가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이같은 결과는 외비확장구는 비중격기형 환자의 비호흡과 비개존성을 유의하게 개선시키지만 객관적 검사 소견이 개선되었다 하더라도 주관적인 비호흡 느낌이 반드시 개선된 것은 아님을 의미하며, 따라서 비중격기형 환자에 대한 비수술적 방법으로써 외비확장구를 처방할 경우 이러한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향후 비중격기형에 대한 Mladina 3)의 분류에서 비판 부위에 기형이 있는 유형과 없는 유형을 구분하여 외비확장구의 효과를 비교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결론 비중격기형 환자에 있어서 외비확장구는 비호흡의 주관적 느낌을 유의하게 개선시키고 비강의 최소 단면적 및 그 용적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므로 비중격기형의 효과적인 비수술적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이러한 비호흡의 개선정도와 비개존성의 변화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외비확장구 처방시 유의하여야 한다.
REFERENCES
1) Roithmann R, Chapnik J, Zamel N, Barreto SM, Cole P. Acoustic rhinometric assessment of the nasal valve. Am J Rhinol 1997;11:379-85. 2) Griffin JW, Hunter G, Ferguson D, Sillers MJ. Physiologic effects of an external nasal dilator. Laryngoscope 1997;107:1235-8. 3) Mladina R. The role of maxillar morphology in the development of pathological septal deformities. Rhinology 1987;25:199-205. 4) Hong SK, Choi MS, Kim CD, Byun SW, Park SI, Lee JY, et al. Effects of external nasal dilators on nasal respiration and patency in healthy Korean adults: An acoustic rhinometric study. Korean J Otolaryngol 1998;41:1426-30. 5) Hong SK, Park SI, Kim CN, Kim CD, Byun SW, Kim JY, et al. Effects of external nasal dilators on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in Korean adults: A polysomnographic study. Korean J Otolaryngol 1999;42:1134-8. 6) Mladina R, Bastaic L. What do we know about septal deformities? J Rhinol 1997;4:79-89. 7) Santiago-Diez de Bonilla J, McCaffrey TV, Kern EB. The nasal valve: A rhinomanometric evaluation of maximum nasal inspiratory flow and pressure curves. Ann Otol Rhinol Laryngol 1986;95:229-32. 8) Jones AS, Wight GR, Stevens JC, Beckingham E. The nasal valve: A physiological and clinical study. J Laryngol Otol 1988;102:1089-94. 9) Ng BA, Mamikoglu B, Ahmed MS, Corey JP. The effect of external nasal dilators as measured by acoustic rhinometry. Ear Nose Throat J 1998;77:840-4. 10) Roithmann R, Chapnik J, Cole P, Szalai J, Zamel N. Role of the external nasal dilator in the management of nasal obstruction. Laryngoscope 1998;108:712-5. 11) Morgan NJ, MacGregor FB, Birchall MA, Lund VJ, Sittampalam Y. Racial differences in nasal fossa dimensions determined by acoustic rhinometry. Rhinology 1995;33:224-8. 12) Hollinshead WH. Anatomy for surgeons: Volume 1. The head and neck. 3rd ed. Philadelphia: Harper & Row Publishers;1982. p.223. 13) Tomkinson A, Eccles R. Comparison of the relative abilities of acoustic rhinometry, rhinomanometry, and the visual analogue scale in detecting change in the nasal cavity in a healthy adult population. Am J Rhinol 1996;10:161-5.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