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2(10); 1999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9;42(10): 1300-1303.
Clinical Analysis of Voice Change as a Parameter of the Premenstrual Syndrome.
Sung Won Chae, Geon Choi, Jin Ho Choi, Jae Jun Song, Jong Ouck Choi, Sung Min Jin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chaeorl@kumc.or.kr
2Department of Otolaryngology, Kangbuk Samsung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월경전 증후군과 음성의 변화
채성원1 · 최 건1 · 최진호1 · 송재준1 · 최종욱1 · 진성민2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1;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2;
주제어: 월경전 증후군음성분석.
ABSTRACT

OBJECTIVES:
We have attemp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oice change and the premenstrual syndrome (PMS) by observing changes of the acoustic parameter between the proliferative stage and the premenstrual period.
MATERIALS AND METHODS:
Twenty-eight women were studied for 2 months for this research. Each person was asked to produce an /a/ sound for 5 seconds at the proliferative phase of the menstrual cycle and then 1-2 days before menstruation. The sound of the voice in each case was recorded and analyzed by the Doctors speech science program. Subjects were divided into PMS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according to the Di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DSM-IV).
RESULTS:
Compared with the acoustic parameters between two perio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jects. In the PMS positive group (N=16), jitt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premenstrual period compared with proliferative stage (p=0.048).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patients PMS score and the severity of voice change.
CONCLUSION:
The change of voice parameter was objectively identified in PMS positive group, so more careful voice habituation was required during the prementrual period.
Keywords: Premenstrual syndromeVoice
서론 월경은 가임기 여성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생리적 현상으로 이와 관련되어 여러 신체적인 변화가 발생하며 음성에 있어서도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1)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많지 않다. 과거에는 여성 호르몬 변화에 따른 음성 변화를 주관적으로만 확인할 수 있었으나 최근 스트로보스코피(stroboscopy)와 다양한 음성분석시스템의 발달로 인하여 객관적이며 세밀한 검사가 가능하게 되어 미세한 음성의 변화까지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1)2) 발성 연습이 되어 있는 전문 성악가의 경우 월경전 여성 호르몬의 변화로 성대 부종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음성의 기본 주파수가 감소하며 주파수의 변동(frequency perturbation)이 증가하여 음성의 변화가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나,2)3) 일반 여성에 있어 월경전 음성 변화 발생에 대한 보고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 여성을 대상으로 월경 직전 음성 변화 여부를 확인하며 여성 호르몬 변화에 의하여 음성 이외의 체내 변화가 동반되는 현상인 월경전 증후군이 일반 여성의 음성 변화를 심화 시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월경전 증후군 증상이 심할수록 음성의 변화가 증가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1998년 6월에서 8월까지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28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령은 21세에서 30세까지였으며 평균 25세이었다. 대상군의 직업은 주부, 회사원, 간호사였고, 직업적으로 음성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음주나 흡연 경력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으며, 스트로보스코피 검사상 성대의 기질적 변화가 있었던 경우도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방법 대상군의 음성채취는 월경주기에 따라 증식기와 월경 발생 1∼2일 전으로 구분하여 2회에 걸쳐 실시하였는데, 편안한 자세에서 편안한 목소리로 입술에서 10 cm 위치에 마이크로폰(Model TM333 unidirectional;dynamic microphone, TEV Co.)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최소 5초 이상의 연속된 /a/ 모음 소리를 세 번 발성하여 그 중 가장 안정된 발성을 나타낸 것을 선택하였다. 음성분석은 Dr. Speech Science Program을 사용하여 기본 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 Fo), jitter, shimmer, 그리고 normalized glottal noise energy(NNE)를 분석하였다. 월경전 증후군 판정은 정신장애의 진단과 통계 편람 제 4 판(DSM-IV) 4)에 따라 11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서를 피검자가 작성한 자료로 월경전 증후군을 확인하였으며, 생리 중반기에 증상이 소실되지 않으면 월경전 증후군이 없다고 하였다. 진단 기준은 필수 요건인 심리적 요인 4가지 중 한가지가 반드시 있어야 하며, 전체적으로 5가지 항목이상 양성인 경우 월경전 증후군으로 판정하였다. 월경전 증후군이 있는 경우 주관적 증상의 강도를 양성으로 확인된 검사 문항 수에 따라 6부터 11까지 점수로 환산하여 월경전 증후군 증상의 경중과 음성의 변화가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통계학적 처리 중 전체 28명의 월경에 따른 음성 변화 확인은 증식기와 월경전에 측정한 음성 자료 값을 paired t-test로 비교하였고, 월경전 증후군 여부에 따라 두군으로 나눈후 음성의 변화에 대한 확인은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였다. 또한 월경전 증후군 양성인 경우 증상이 심할수록 음성 변화가 증대되는지에 대한 상관성 검사는 Spearman rank order correlation test를 사용하였고 유의수준은 모두 0.05로 하였다. 결과 일반 여성에 있어 월경에 따른 음성 변화 음성 분석 값의 변화가 한 개의 측정치(parameter) 이상 있었던 경우는 전체 28례 중 15례 이었다. 각각의 음성 요소에 있어 증식기에 비하여 월경전에 증가한 경우는 jitter가 11례, shimmer가 9례, NNE가 4례이었고, 월경전에 기본 주파수가 감소한 경우는 15례이었다. 전체 28명에 대한 음성 분석 결과상 증식기에 비하여 월경전 시기에는 jitter, shimmer, NNE 값이 증가하고 기본 주파수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jitter 값이 다른 음성 요소 보다 큰 변화 양상을 보였다(Table 1). 월경전 증후군 여부에 따른 음성의 변화 DSM-IV 기준에 따라 월경전 증후군으로 판정된 경우는 16례로 전체의 57%이었으며, 양성인 경우 jitter 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48). 음성인 12례의 경우 월경에 따른 음성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Table 2). 월경전 증후군의 증상 정도와 음성의 변화 월경전 증상이 심할수록 음성의 변화가 많이 발생하는지 확인하고자 월경전 증후군으로 판명된 16례를 증상의 점수에 따라 분류하여 음성 분석 결과와의 연관성을 확인하였으나, 월경전 증상의 경중과 음성 변화와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Table 3). 고찰 여성의 월경 주기 중 에스트로겐은 배란 직전과 월경 직전 최고 농도에 이르게 되며, 프로게스테론은 배란 후 증가되어 월경 직전 에스트로겐과 같이 가장 높은 수준을 이룬다.5) 에스트로겐은 기질내에 뮤코다당질 중 hyaluronic acid의 양을 증가 시키고 분자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중합반응을 유발하여 sol-gel 평형상태를 교화질(gel) 상태로 변화시킨다. 에스트로겐의 농도가 제일 높아지는 월경 주기 중 21일에는 뮤코다당질의 농도와 분자 크기가 가장 큰 상태가 되나, 이후 에스트로겐이 감소하면 뮤코다당질의 분자 크기도 작은 중합체의 상태로 분해되며 수분과 쉽게 결합하여 점막하 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6) 성대의 결체 조직 내에서도 혈관확장, 혈관 투과성 증가, sol-gel 평형상태의 변화, 염분과 수분의 저류 등이 여성 호르몬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여 월경 2∼3일전 성대의 부피가 증가하고 고음 발성 장애가 발생한다.6)7) 월경전 호르몬의 변화에 따른 음성의 변화는 성대의 부종으로 인한 기질적 변화와 함께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 단계에서도 성대 조절 능력의 변화가 유발되는 두가지 영향의 복합적인 결과로서 음성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9)10) 신경표면에 프로게스테론을 점적하면 신경근접합부(neuromuscular junction)에서 아세틸콜린의 분비가 증가하고,8) 황체호르몬의 증가가 혈액내의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의 농도를 올린다는 보고9)10)가 있어 월경전 부정확한 음정은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성대를 도포 마취하는 경우 음성의 변화가 유발되어 호르몬의 변화에 따른 성대 점막의 감지 능력의 변화도 음성의 변화를 유발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1) 여성에 있어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혈중 농도가 높은 월경 전에 많은 신체적, 정서적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변화의 일환인 월경전 증후군은 월경 시작 1∼2주 전부터 시작되어 월경과 함께 소실되며 우울 증상과 함께 사회적, 직업적 기능의 손상이 발생할 정도의 변화가 존재해야 한다. 전형적인 증상은 주요 우울증 정도의 강도이며 2개월 이상 주기적인 증상 양상이 있는 특징이 있다.12) 월경전 증후군은 호르몬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나 모든 여성에게서 발생하지는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에도 개체에 따른 차이가 심하다. 여성의 75%가 경도의 월경 전 신체적 변화가 있으며 제한적인 연구 결과상 월경전 증후군의 발생률은 20∼50%라고 알려져 있다.4) 월경전 증후군이 있는 경우 음성의 변화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음성에 대한 주관적인 지각 변화가 없을지라도 미세한 음성 변화가 많은 일반 여성에서도 일어날 것으로 생각된다.4) 월경전 증후군을 확인하는 진단기준은 11개의 문항으로 구성되며 심리적 요소 이외에 진단 기준에 포함되는 항목으로는 사회적 관계로 부터의 위축, 집중력 저하, 피곤증, 식욕변화, 수면장애, 체중 증가와 같은 신체적 변화 등이 있다. 월경전 증상이 심할수록 음성의 변화가 증가하는지 확인하였으나 이에 대한 차이가 없어 5항목 이상 양성인 경우 양성 항목의 수가 증가하여도 음성의 변화가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Table 3). 이는 월경전 증후군의 진단 기준이 월경 주기에 따른 정서적, 행동적 양상 변화에 중점을 맞추어져 있어, 이로 월경전 음성 변화의 정도를 유추하는데에는 문제점이 있으나 호르몬 변화에 따른 각 개체별 예민도 변화의 차이를 확인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성악가에 있어 월경에 따른 음성 변화의 초기 보고로 Lacina13)는 여성 성악가 중 약 40%가 월경 시작 2∼3일 전 고음 발성 장애, 부정확한 음정, 성대의 점막하 출혈이 발생하는 것을 보고하였고, 또한 많은 여성 성악가가 월경 직전 고음역대 발성시 미세한 발성 조절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는 월경에 따라 주기적으로 발생하여 월경전에는 성악 발표회를 잘 시행하지 않는다고 보고되고 있다.14) 일반 여성에 있어서도 월경 전 호르몬의 변화가 있으나 음성 변화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악가는 넓은 영역의 음성을 사용하며, 일반인보다 음성변화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또한 직업적으로 과도하게 성대를 사용하여 성대의 변화가 쉽게 발생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도 연구 대상인 전체 일반 여성에 있어 음성의 객관적이며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월경전 증후군이 있는 경우에는 jitter 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월경전 증후군이 양성인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음성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성대의 부종으로 인한 음성의 주된 변화는 기본주파수의 감소와 jitter의 증가로 알려져 있으나,15)16) 월경전 증후군 양성인 16명의 경우 jitter값만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NNE와 기본주파수의 변화는 없었다. 성대 부종은 jitter, NNE와 기본주파수의 변화를 동시에 유발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jitter 값만이 변화하는 것을 보아 일반 여성에 있어 월경전 음성 변화의 정도는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인에 있어 월경 주기에 따른 음성 변화에 대한 보고로 Silverman 등16)은 월경 직전 성대의 부피 증가가 일어나는 경우 모음 영역의 잡음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하고 월경 직전과 배란기에 음성 검사를 하였으나 양 기간 사이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어 월경 주기에 따른 음성 변화가 없다고 하였으나 본 연구 결과상 월경전 증후군 양성이면 증식기에 비하여 월경전 음성이 변화하였다. Higgin 등17)은 여성에 있어 음성의 변화가 월경전 뿐만 아니라 배란기에서도 에스트로겐에 영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연구 결과와 Silverman의 상이한 결과16)는 음성검사의 시기에 따른 차이점으로 생각된다. 성대 조직에 있어 여성 호르몬 수용체에 대한 연구 결과상18)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점막의 상피세포에,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는 점막 중간층(intermediate layer)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여성 호르몬의 변화에 따른 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또한 여성 호르몬에 대한 음성 변화 정도가 각 개체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혈액, 타액 혹은 소변을 통한 개별 여성 호르몬의 농도 변화와 이에 대한 음성 차이에 대한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월경 전 음성의 변화가 일반 여성에 있어 유의하게 발생하지 않았으나, 월경전 증후군이 있는 여성의 경우 jitter 값이 유의하게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어 월경 전 정서적, 신체적 및 행동적 양상의 변화가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여성의 경우 월경 전 시기에 무리한 발성이 다른 시기에 비하여 성대의 기질적인 변화를 용이하게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Benninger MS. Medical disorders in the vocal artist. In: Benninger MS, Jacobson BH, Johnson AF editors. Vocal arts medicine, the care and prevention of professional voice disorders. New York: Thieme;1994. p.203-8. 2) Gould WJ, Kojima H, Lambiase A. A technique for stroboscopic examination of the vocal folds using fiberoptic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79;105:285. 3) Brown WS, Rothman H. The menstrual cycle and its relationship to the highly stressed female voice. In: Lawrence V editor. Transcripts of the fourteenth symposium on care of the professional voice. New York: The Voice Foundation;1985. p.114-23. 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dorders.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1994. p.528-9. 5) Rovisky JJ. Maternal physiology in pregnancy. In: Sciarro JJ editor. Gynecology and Obstetrics, Vol II. Philadelphia: JB Lippincott;1990. p.1-19. 6) Brodnitz FS. Hormones and the human voice. Bull N Y Acad Med 1971;47:183-91. 7) Abitbol J, De Brux J, Millot G, Masson MF, Mimoun OL, Pau H, et al. Dose a hormonal vocal cord cycle exist in women? Study of vocal premenstrual syndrome in voice performers by videostroboscopy glottography and cytology on 38 women. J Voice 1989;3:157-62. 8) Meiri H. Is synaptic transmission medulated by progesterone? Brain Res 1986;385:193-6. 9) Baer T. Vocal jitter: A neuromuscular explanation. In: Lawrence VL, Weinberg B editors. Transcript of the eighth symposium on care of the professional voice. New York: The Voice Foundation;1979. p.19-22. 10) Rosner JM, Nagle CA, de Laborde NP, Pedroza E, Badano A, Figueroa Casas PR, et al. Plasma levels of norepinephrine (NE) during the periovulatory period and after LH-RH stimulation in women. Am J Obstet Gynecol 1976;124:567-72. 11) Sorensen D, Horii Y, Leonard R. Effects of laryngeal topical anesthesia on voice fundamental frequency perturbation. J Speech Hear Res 1980;23:274-83. 12) Miki B, Peter J. Premenstrual syndrome: Evidence for symptom stability across cycles. Am J Psychiatry 1997;154:1741-46. 13) Lacina C. Der Einfluss der Menstruation auf die Stimme der Saengerinnen. Fol Phoniatr 1968;20:66-8. 14) Brown WS, Hollien H. Effects of menstruation on the singing voice. In: Lawrence V editor. Transcripts of the eleventh symposium on care of the professional voice. New York: The Voice Foundation;1982. p.140-7. 15) Brown WS, Hollien H. Effect of menstruation on fundamental frequency of female voice. In Lawrence V, ed. Transcripts of the tenth symposium on the care of the professional voice. New York: The voice foundation;1981. p.94-101. 16) Silverman EM, Zimmer CH. Effect of the menstrual cycle on voice quality. Arch Otolaryngol 1978;104:7-10. 17) Higgins MB, Saxman JH. Variations in vocal frequency perturbation across the menstrual cycle. J Voice 1989;3:233-43. 18) Ferguson BJ, Hudson WR, McCarty KS Jr. Sex steroid receptor distribution in the human larynx and laryngeal carcinoma.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7;113:1311-5.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1,834
View
10
Download
Related articles
A Clinical Analysis of Nasopharyngeal Carcinoma  1996 ;39(12)
Clinical Analysis on Surgical Treatment of Ranula  1996 ;39(11)
A Clinical Analysis of Herpes Zoster Oticus  1996 ;39(10)
Clinical Analysis of Diode Laser Tonsillectomy  1996 ;39(5)
Clinical Analysis on Cancer of the Larynx  1995 ;38(12)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