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2(11); 1999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9;42(11): 1469-1471.
A Case of Transient Glossopharyngeal and Hypoglossal Nerve Palsy after Laryngomicrosurgery.
Chul Woo Jung, Young Min Ju, Sung Chul Park, Jeong Seob Choi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Namkwang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Seonam University, Kwangju, Korea.
후두 미세수술 후 발생한 일시적인 설인신경 및 설하신경 장애 1예
정철우 · 주영민 · 박성철 · 최정섭
서남대학교 남광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제어: 후두 미세수술설하신경 장애.
ABSTRACT
Laryngomicrosurgery is a common procedure in the otolaryngological fields. Transient glossopharyngeal and hypoglossal nerve palsy after laryngomicrosurgery are very rare. Recently, we experienced a palsy of glossopharyngeal and hypoglossal nerve which occurred after laryngomicrosurgery. We report this rare case with the review of literature.
Keywords: LaryngomicrosurgeryHypoglossal nerve palsy
서론 후두 미세수술은 현재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흔히 행해지는 시술로서, 가능한 술후 합병증들로는 구순 및 혀의 좌상, 치아 손상, 심부정맥, 그리고 양측 성대의 점막 손상으로 인한 web 형성 등이 있다. 최근 저자들은 후두 미세수술 후 발생한 일시적인 설인신경 및 설하신경 장애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52세 여자 환자로 4개월 전부터 발생한 애성을 주소로 내원하여 후두용종 및 Reinke´s edema 진단하에 Bouchayer후두경을 구강의 오른쪽 측면으로 삽입한 후 후두개의 정중앙, 아래에 위치시킨 후 후두 미세수술을 시행하였다. 경구 기도 내 삽관을 포함한 전신 마취를 시행했으며 이 때 사용된 것은 blade 3번의 직접후두경과 지름 7 mm의 tube이었다. 환자는 술후 1일째 이학적, 신경학적 검사상 혀 우측 후방의 미각 및 접촉감 소실, 구역반사 장애, 연하 장애, 구음 장애 그리고 혀 우측 부위의 부종 및 운동장애 등의 설인 신경 및 설하신경의 손상을 암시하는 소견들(Fig. 1)을 보였다. 즉시 시행한 herpes바이러스 IgM, IgG 항체에 대한 혈청학적 검사와 경부단순 방사선학적 검사상에서는 특이한 소견이 없었으며, 술 후 3일째 시행한 자기공명영상 촬영에서 환측의 설 기저부와 배부가 건측에 비해서 종창되어있는 소견을 보였으며(Fig. 2), 술 후 7일째 시행한 근전도 검사에서는 neurapraxia 소견을 보였다(Fig. 3). 치료는 신경 장애 증상이 나타난 직후부터 스테로이드를 경구투여 했으며, 환자는 술 후 1주일째 미각소실, 연하 장애 및 구역반사 장애에 대해 점차 호전되는 양상을 보여 퇴원하였다. 추적 관찰을 통해 술 후 3주일째 혀 부종, 마비 및 구음장애등이 정상에 가까워진 것을 알게 되었다(Fig. 4). 고찰 설인신경 및 설하신경 장애는 교통사고에 의한 경부 골절, 경부 과신전으로 인한 손상 그리고 경부암 수술 후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나 후두 미세수술 후에 발생했다는 문헌 보고는 없었다. Keane1)이 100예의 설하신경 장애를 분석하였는데, 악성 종양에 의한 경우가 전체의 반을 차지했고, 그 외 뇌일혈, 총상과 같은 외상, 감염, 히스테리성 등이 나머지를 차지했다. 또다른 문헌 보고에 의하면 전신 마취하의 편도적출술2)이나 비내시경 수술 후3)에도 설하신경 장애를 초래한 보고도 있다. 또한 감염된 새열기형 낭종에서 낭종 자체에 의한 물리적 압박으로 인해 설하신경 장애를 초래한 보고도 있다.4) 두부 외상시에 두개 기저부에서 설하신경의 견인으로 인한 신경마비가 보고된 경우5)도 있으나, 그것은 두개 기저부의 해부학적 기형이 신경마비의 선행적 인자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설하신경 장애 후 얻은 경부 단순 방사선촬영에서 혀의 기저부와 경돌설골인대 사이에 석회화 침착이 있었던 경우6)도 있었으나 그 소견과 설하신경 장애의 발생과는 직접적 관련이 없었다. 그렇지만 후두 미세수술 후에 발생한 일시적인 설인신경 및 설하신경 장애는 단순한 전신 마취시의 직접 후두경 및 기관 삽관에 의한 손상인지 혹은 후두미세 수술시에 행하는 suspension후두경 삽관으로 인한 손상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Wilkins가 그의 논문에서 뇌신경마비의 원인을 신경에 인접한 혈관들의 압박으로 인한 괴사로 설명한것처럼7) 후두미세 수술 후의 일시적인 설인신경 및 설하신경 장애의 발생기전은 경부의 과신전상태에서 지속적인 압박으로 인하여 신경이 신전되어 그 상태로 눌리게 되어 축삭소실 및 전도장애를 초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증예에서 처럼 혈청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herpes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염 여부도 배제시키는 것이 신경 장애에 대한 원인적 접근에 있어서 중요하리라 여겨진다. 두부외상 후의 후두과부골절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설인신경 마비에서처럼 수술적으로 신경감압술을 시행하여 회복된 경우8) 이외에는 어떤 원인으로 발생하던지 간에 일시적인 설인신경 및 설하신경 장애는 벨 마비처럼 자연완해의 경과를 취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특별한 치료는 필요하지 않을거라 생각한다.9) 또한 후두 미세수술 후 발생한 설인신경 및 설하신경 장애는 아직까지 한 번도 국내외적으로 보고된 바가 없기 때문에 환자에게 이러한 합병증에 대해 주지시키는 것은 아직 필요치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Keane JR. Twelfth-nerve palsy, analysis of 100 cases. Arch Neurol 1996;53:561-6. 2) Michel O, Brusis T. Hypoglossal nerve paralysis following tonsillectomy. Laryngorhinootologie 1990;69:267-70. 3) Bachmann G, Streppel M. Hypoglossal nerve paralysis after endonasal paranasal sinus operation in intubation narcosis. Laryngorhinootologie 1996;75:623-4. 4) Gatot A, Tovi F, Fliss DM, Yanai II. Branchial cleft cyst manifesting as hypoglossal nerve palsy. Head & Neck 1991;13:249-50. 5) Kacker A, Komisar A, Kakani RS, Reich E, Rothman L. Tongue paralysis following head trauma. J Laryngol Otol 1995;109:770-1. 6) Baumgarten V, Jalinski W, Bohm S, Galle E. Hypoglossal paralysis after septum correction with intubation anesthesia. Anaesthesist 1997;46:34-7. 7) Wilkins RH. Neurovascular compression syndromes. Neurol Clin 1985 May;3:359-72. 8) Urculo E, Arrazola M, Arrazola M Jr, Riu I, Moyou A. Delayed glossopharyngeal and vagus nerve paralysis followng occipital condyle fracture: Case report. J Neurosurg 1996 Mar;84:522-5. 9) Lee SS, Wand SJ, Fuh JL, Liu HC. Transient unilateral hypoglossal nerve palsy: A case report. Clin Neurol Neurosurg 1994;96:148-51.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