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4(8); 2001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1;44(8): 890-892.
Leiomyoma of the Nasal Septum: a case report.
Chang Ki Yeo, Jung Youp Park, Seong Woo Kwon, Ik Su Kim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 Daegu Fatima Hospital, Daegu, Korea.
2Department of Pathology, Daegu Fatima Hospital, Daegu, Korea.
비중격에 발생한 평활근종 치험 1예
여창기1 · 박정엽1 · 권성우1 · 김익수2
대구파티마병원 이비인후과1;해부병리과2;
주제어: 평활근종비중격.
ABSTRACT
Leiomyoma is a tumor rarely occurring in the nose and the paranasal sinus. It constitutes about 1% of all benign tumors arising in the head and neck area. This is probably due to the paucity of smooth muscle in the nose. We experienced a case of leiomyoma originating in the right side of the nasal septum in a 50-year- man. It was successfully removed by endoscopic surgery, and we report this case with literature.
Keywords: LeiomyomaNasal Septum

교신저자:여창기, 701-600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302-1  대구파티마병원 이비인후과
              전화:(053) 940-7350 · 전송:(053) 954-7417 · E-mail:MDLJH@hitel.net

서     론


   평활근종은 평활근이 주로 존재하는 자궁, 피부, 피하조직에서 주로 발생하며 두경부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1% 미만으로 매우 드문 양성종양이다.1)2)
   비강내에서 평활근종이 주로 생기는 부위는 비갑개, 비전정, 비강저이며 비중격에 발생된 경우는 외국 문헌상 4예, 국내문헌상 1예만이1) 보고되고 있다.
   최근 저자들은 비중격에서 발생한 평활근종 1예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50세 남자환자로 수개월 전부터 발생한 우측 비강의 동통으로 개인의원에서 치료후 우측 비중격에 국한된 종물소견을 보여 본 병원 이비인후과로 의뢰되었다.
   과거력 및 가족력상 특이소견은 없었으며 외래 검사소견상 우측 비중격에 10×7×5 mm의 종양이 관찰되었고(Fig. 1), 부비동 전산화단층촬영에서는 비중격에 균질한 연부조직음영을 나타내는 종물이 관찰되었고, 연골의 파괴소견은 동반되지 않았다(Fig. 2).
   외래에서 시행한 생검소견상 만성염증과 동반된 평활근종으로 진단되어 전신마취하에 비내시경을 이용하여 비중격 연골막을 포함하여 절제하였고, 우측하비갑개 점막일부를 채취하여 점막과 연골막이 결손된 비중격연골에 이식한 후 silastic sheet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제거된 병변은 단단하고 분홍빛의 둥근 모양으로 10×7×5 mm 크기의 점막으로 덮인 종물이었다(Fig. 3). 광학현미경상 연분홍색을 띤 평활근 섬유다발이 여러 방향으로 주행하는 소견이 관찰되었고, 평활근 섬유만 특이적으로 염색되는 항 actin면역염색에서 고동색의 평활근을 증명할 수 있었다(Fig. 4A and B).
   술후 항생제치료 3일만에 퇴원하였고 3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추적관찰중이며 특이소견은 보이지 않고 있다.

고     찰

   평활근종은 평활근이 존재하는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주로 자궁 및 소화기관, 피하조직에서 발생하며 상대적으로 평활근의 분포가 적은 두경부에서는 1%미만, 두경부중 특히 비강 및 부비동에서는 3%미만으로 매우 드문 양성종양이다.3)4)5)
   비강 및 부비동 평활근종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으나 미분화간엽세포 또는 혈관벽에 존재하는 평활근에서 생기는 경우 및 상기 두가지세포 모두에서 기원한다는 가설이 있으며,6)7) 비중격의 평활근은 혈관벽 이외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혈관 평활근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생각된다.
   평활근종은 서서히 자라는 성질 때문에 특이적인 임상증상은 없으나 주로 비폐색과 관련된 증상이 많으며 동통, 두통, 비건조감, 비출혈 및 비강내 가피를 초래할 수 있고8)10) 국소 압박 증상에 의한 골미란(bony erosion) 소견을 보일 수 있다.
   진단은 병력 및 임상적 소견으로는 확진하기 힘들고 대부분 술전생검이나 술후 채취한 조직에 대한 병리학적 검사로써 이루어진다.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촬영은 그 자체로서는 의미가 없으나 종양의 침범범위 및 치료계획을 결정하는데는 도움을 줄 수 있다.10) 조직학적으로 혈관성, 비혈관성, 상피양으로 나눌 수 있으며9)11)12)13) 자궁근종의 경우 세포의 분열수에 따라 양성 및 악성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배율에서 10개 검체당 5개이하의 세포분열이 관찰되면 양성이며, 10개이상의 세포분열이 관찰될 때 악성으로, 5~10개 사이일 경우는 경계부위로 분류되며 만일 세포이형성(cellular atypia)이 발견될 경우는 세포분열수에 상관없이 악성으로 분류된다.7) 자궁근종 이외의 평활근종은 일반적으로 세포충실성의 증가, 세포다형성, 이상거대세포와 핵분열상의 증가로 악성과 양성을 구분한다.
   육안적으로 평활근종은 매끈한 피막으로 덮여있으며, 광학현미경상 호산성의 일정한 모양의 방추상 세포가 여러 방향으로 달리고 있는 양상을 보이며, 평활근에 특이하게 염색되는 desmin, vimentin, Masson's trichrome, actin과 myosin등에 의해 평활근종을 확진할 수 있으며14) 본 증례에서는 항 actin 면역염색에서 고동색으로 염색되는 평활근 세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감별해야할 질환으로는 혈관섬유종, 혈관종, 섬유종, 평활근육종, 신경초종, 신경섬유종 등이 있다.13)
   치료는 완전한 절제술이 가장 좋으며14)15) 최근 내시경을 이용한 절제술을 선호하고 있으나 크기가 클 경우 외측 비절개술을 이용하기도 한다. 완전한 절제술후 재발은 극히 드물며 만일 재발이 되었을 경우는 저급 악성종양에 준해 치료하여야 한다. 저자들이 경험한 증례에서도 비내시경을 이용하여 완전 절제술후 현재까지 재발소견 없이 외래 추적 관찰중이다.


REFERENCES

  1. Kim JY, Cho JJ, Kim SM, Cho SG. A case of leiomyoma of the nasal septum. Korean J Otolaryngol 1999;42:1051-4.

  2. Jang TY, Park JS, Yun YS, Jung DH, Han JY. Two cases of leiomyoma of the nasal cavity. Korean J Otolaryngol 1999;42:110-3.

  3. Llorente JL, Suarez C, Seco M, Garcia A. Leiomyoma of the nasal septum: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Laryngol Otol 1996;110:65-8.

  4. Ardekian L, Samet N, Talmi YP, Roth Y, Bendet E, Kronenberg J. Vascular leiomyoma of the nasal septum.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6;114:798-800.

  5. Barr GD, More IAR, McCallum HM. Leiomyoma of the nasal septum. J Laryngol Otol 1990;104:891-3.

  6. Khan MH, Jones AS, Haqqani MT. Angioleiomyoma of the nasal cavity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Laryngol Otol 1994;108:244-6.

  7. Tang SO, Tse CH. Leiomyoma of the nasal cavity. J Laryngol Otol 1988;102:831-3.

  8. Harcourt JP, Gallimore AP. Leiomyoma of the paranasal sinuses. J Laryngol Otol 1993;107:740-1.

  9. Lijovetzky G, Zaarura S, Gay I. Leiomyoma of the nasal cavity (report of a case). J Laryngol Otol 1985;99:197-200.

  10. Trott MS, Gewirtz A, Lavertu P, Wood BG, Sebek BA. Sinonasal leiomyomas.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4;111:660-4.

  11. McCaffrey TV, McDonald TJ, Unni KK. Leiomyoma of the nasal cavity: Report of a case. J Laryngol Otol 1978;92:817-9.

  12. Hanna GS, Akosa AB, Ali MH. Vascular leiomyoma of the inferior turbinate-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Laryngol Otol 1988;102:1159-60.

  13. Huang CT, Chien CY, Su CY, Chen WJ. Leiomyoma of the inferior turbinates. J Otolaryngol 2000;29:55-6.

  14. Nall AV, Stringer SP, Baughman RA. Vascular leiomyoma of the superior turbinate: First reported case. Head Neck 1997;19:63-7.

  15. Murono S, Ohmura T, Sugimori S, Furukawa M. Vascular leiomyoma with abundant adipose cells of the nasal cavity. Am J Otolaryngol 1998;19:50-3.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1,239
View
7
Download
Related articles
Chondrosarcoma of the Nasal Septum  2021 June;64(6)
A Case of Fibrolipoma of the Nasal Septum  2020 October;63(10)
Merkel Cell Carcinoma of Cheek: 2 Case Reports  2018 October;61(10)
A Case of Sarcoidosis of the Nasal Septum  2017 May;60(5)
A Case of Malignant Melanoma of the Nasal Septum  1996 ;39(11)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