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7(11); 2004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4;47(11): 1125-1129.
Anatomic Changes of Intranasal and Surrounding Bony Structures in Patients with Nasal Septal Deviation: A CT Analysis.
Bon Seok Koo, Yong De Jin, Chan Hee Park, Young Kyu Park, Seok Won Park, Ki Sang Rha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aejeon, Korea. ksrha@cnu.ac.kr
2Department of Otolaryngology, Yanbi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anji, China.
비중격만곡증 환자에서 비강내와 주위 골구조물의 해부학적 변화:전산화단층촬영에 의한 분석
구본석1 · 김영덕2 · 박찬희1 · 박영규1 · 박석원1 · 나기상1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1;연변대학교 의학원 이비인후과학교실2
주제어: 비중격비갑개전산화단층촬영.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the cases of nasal septal deviation (NSD), bilateral nasal structures, such as inferior turbinate, nasal floor, or lateral nasal wall, are often asymmetric. These patterns may be somewhat uniform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septal deviation.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stablish the anatomical patterns of the intranasal and surrounding bony structures in the cases of NSD by using radiologic measurement.
SUBJECTS AND METHOD:
We took OMU CT scans of 38 adult non-traumatic NSD patients without concurrent sinonasal inflammation. For each patient, we selected 4 consecutive coronal images of the most severely deviated portion for the measurement. We set various parameters which could reflect the anatomic patterns of the bony structures, then measured them in the selected images.
RESULTS:
The levels of bilateral nasal floors were not the same, and the floor of nasal cavity was significantly declined to convex side. The angle of lateral nasal wall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concave side than in the convex side. The horizontal width or the angle of the inferior turbinate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concave side than in the convex side.
CONCLUSION:
In the cases of NSD, the symmetry of bilateral intranasal or surrounding bony structures was altered significantly, and its pattern was uniform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devi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on-traumatic NSD may be the result of asymmetric growth of facial bones.
Keywords: Nasal septumTurbinateComputed tomographyx-ray

교신저자:나기상, 301-721 대전광역시 중구 대사동 640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42) 220-7698 · 전송:(042) 253-4059 · E-mail:ksrha@cnu.ac.kr

서     론


  
비중격은 비강 정중부에 위치하여 비강을 둘로 나누고 비교와 비첨의 지지에 도움을 주는 구조물로 앞쪽에서는 사각연골(quadrangular cartilage), 뒤쪽에서는 사골수직판(perpendicular plate of the ethmoid)과 서골(vomor)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골, 전두골, 사골의 사판(cribriform plate), 상악골, 구개골, 접형골 등의 주위 구조물과 접하고 있다.
   비중격만곡은 외상이나 비용, 종양 등의 후천적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지만 인종, 가계 등의 유전적 요인, 비중격을 구성하는 연골과 골의 성장력 차이, 비중격과 인접해 있는 안면골과 두개골의 성장의 불균형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Mladina1)는 비중격만곡증 환자에서 요부측(concave side)의 비강저가 철부측(convex side)에 비해 높은 경우가 많으며 이는 상악골의 성장 불균형이 비중격만곡의 형성에 기여함을 시사하는 소견이라고 하였다. 또한 비중격만곡에 의한 이차적인 변화인지 아니면 비중격만곡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는지 확실치 않지만 요부측 하비갑개에서는 점막의 비후뿐 아니라 골부의 비후도 흔히 관찰되며,2)3)8) 수포성 중비갑개를 보이는 경우 함기화 정도가 요부측에서 더 큰 경향을 볼 수 있다.4)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비중격만곡증 환자에서 흔히 보이는 비강 내 구조물과 주변 골의 형태학적인 변화가 일정한 양상을 띠고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비중격의 만곡 정도, 비강저의 기울기, 양측 비강의 측벽이 정중선과 이루는 각도, 양측 하비갑개의 돌출 정도 등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3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 이비인후과에 비폐색으로 내원한 환자 중 비·부비동염이 없고 안면과 두부 외상의 과거력이 없으며 비중격 전방부의 만곡을 보이는 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OMU CT를 촬영하였다. 환자의 평균연령은 32.7세(15
~54세)였고 남자가 35명, 여자가 3명이었다. 비중격이 우측으로 만곡되어 있는 환자가 22명, 좌측으로 만곡되어 있는 환자가 16명이었다.
   대상환자의 비강내 최소단면적을 보이는 부위는 외비공으로부터 2
~3 cm 거리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비점막수축제를 도포하기 전 최소단면적의 평균값은 철부측과 요부측에서 각각 0.34 cm2, 0.76cm2이었으며 비점막도포 후에는 각각 0.44 cm2, 0.90 cm2이었다. 비점막수축제를 도포하기 전 비저항의 평균값은 철부측과 요부측에서 각각 2.67 pascal/cm3/sec, 0.93 pascal/cm3/sec이었으며, 비점막수축제 도포 후에는 각각 0.83 pascal/cm3/sec, 0.49 pascal/cm3/sec이었다(Table 1).
   만곡의 정도가 가장 큰 부위를 중심으로 연속된 4장의 관상면을 선택하여 Marotech사의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ng system)하에서 Maroview(version 5.0)를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비중격 만곡의 각도는 계관(crista galli)에서 전비극(anterior nasal spine)의 정중부를 연결하는 선을 기준선으로 하여 계관과 비중격 만곡이 가장 심한 부분을 연결한 선이 이루는 각도로 정하여 측정하였다(Fig. 1).
   양측 비강저의 기울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계관과 전비극의 정중부를 연결하는 기준선에 수직인 수평선을 그은 다음 이 선과 양측 비강저의 가장 낮은 지점을 이은 선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였다(Fig. 2).
   또한 양측 비강 측벽이 기준선과 이루는 각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강 측벽 중 가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과 계관을 이은 선이 기준선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였다(Fig. 3).
   하비갑개의 돌출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기준선과 평행한 선을 하비갑개 기시부에 그었을 때 이 선과 하비갑개의 골부 중 내측으로 가장 돌출된 부위와 기시부를 이은 선이 이루는 각도를 하비갑개의 돌출각으로 정하여 측정하였으며(Fig. 4), 이 선에서 하비갑개의 골부 중 내측으로 가장 돌출된 부위까지의 거리를 하비갑개의 폭으로 정하여 측정하였다(Fig. 5).
   모든 계측은 검사결과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한 명의 검사자가 측정하였고 PACS상에서도 window setting을 일정하게 고정한 상태(W2000, L200)에서 측정을 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에는 SPSS version 11.0의 Sign test, Mann-Whitney U test가 이용되었다.

결     과

   비중격 만곡의 각도는 2.0
~16.2도(평균 7.6도)이었다.
   기울기는 2.5±3.0도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며 2명의 환자를 제외하고는 전부 요부측을 상향으로 하여 기울어져 있었다(p<0.05).
   비강 측벽이 이루는 각도는 철부측이 25.6±3.7도, 요부측이 26.7±4.1도로 요부측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Fig. 6).
   하비갑개의 돌출각은 철부측이 29.5±11.0도, 요부측이 39.6±12.2도로 철부측에 비해 요부측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Fig. 7).
   하비갑개의 폭도 철부측이 4.7±1.8mm, 요부측이 6.8±2.2mm로 요부측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Fig. 8).

고     찰

   비외상성 비중격만곡의 발생은 비강의 발달과정 동안에 비강저의 비대칭적 하강이나 상악골을 포함한 안면골 및 두개골의 비대칭적 성장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5)6) Mladina6)는 비중격만곡이 있는 환자에서 구개의 주형을 만들어 좌우를 비교하였을 때 비중격이 만곡되어 있는 쪽의 비강저가 낮고 좁은 경우가 많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고 하여 이러한 이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부비동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비강저의 기울기를 측정한 결과 2예를 제외하고는 모든 예에서 비강저가 요부측을 상향으로 하여 유의하게 기울어져 있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 비강 측벽이 정중선과 이루는 각도도 요부측이 철부측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음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전체 비강이 철부측을 향해 기울어져 있는 모양을 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비외상성 비중격만곡의 형성이 상악골을 비롯한 비강 주위 구조물의 비대칭적 성장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는 소견이라 생각한다.
   비중격만곡증 환자에서는 흔히 요부측의 하비갑개 비후가 관찰된다. 점막의 비후는 비중격 만곡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넓어진 요부측의 기류 증가와 그에 따른 건조 현상과 가피 형성을 막기 위한 대상작용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2) 그러나 요부측의 하비갑개에서는 점막 뿐 아니라 골부의 비후도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Berger 등2)은 하비갑개 전절제술 후 시행한 조직학적 검사에서 점막의 비후보다 골부의 비후가 더 현저하다고 하였고, Egeli 등7)과 Ahn 등3)은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요부측 하비갑개에서 골부의 비후가 일관되게 관찰되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하비갑개 골부의 비후에 대하여 Ahn 등3)은 하비갑개의 점막 비후는 비중격만곡에 따른 비강기류의 비정상적인 증가로 인한 대상성 비후로 생각되지만 골부 비후는 이것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또 다른 발생학적 인자가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저자들은 비중격만곡증 환자에서 요부측 하비갑개의 골부가 비후뿐 아니라 어떠한 형태학적 변화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하비갑개의 돌출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비갑개의 돌출각과 하비갑개의 폭 모두 요부측이 철부측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어 비중격만곡증 환자에서 요부측의 하비갑개는 철부측에 비해 골부의 두께뿐만 아니라 돌출정도도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요부측의 하비갑개가 철부측에 비해 더 돌출되어 있는 현상이 비중격만곡에 따른 이차적인 대상성 변화일 가능성도 있지만 상악골을 포함한 주변 안면골의 비대칭적 성장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가 생각한다.

결     론

   비중격만곡증 환자에서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비강저의 기울기, 비강의 측벽이 이루는 각도, 양측 하비갑개의 돌출 정도 등을 측정한 결과 비강저는 요부측을 상향으로 하여 유의하게 기울어져 있었으며 비강 측벽이 이루는 각도는 요부측이 철부측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어 전체 비강이 철부측을 향해 기울어져 있는 모양을 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하비갑개의 돌출각과 하비갑개의 폭 모두 요부측이 철부측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외상성 비중격만곡의 형성이 상악골을 비롯한 비강 주위 구조물의 비대칭적 성장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며 비중격만곡증 환자에서 요부측의 하비갑개가 철부측에 비해 더 돌출되어 있는 현상도 상악골을 포함한 주변 안면골의 비대칭적 성장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가 생각한다.


REFERENCES

  1. Mladina R, Bastaic L. What do we know about septal deformities? J Rhinol 1997;4:79-89.

  2. Berger G, Hammel I, Berger R, Avraham S, Ophir D. Histology of the inferior turbinate with compensatory hypertrophy in patients with deviated nasal septum. Laryngoscope 2000;110:2100-5.

  3. Ahn BH, Lee SY, Sohn SG, Shin HC, Kim ED, Nam SI. The Relationship between nasal septal deviation and inferior turbinate hypertrophy. Korean J Otolaryngol 2003;46:950-4.

  4. Uygur K, Tuz M, Dogru H. The correlation between septal deviation and concha bullosa.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3;129:33-6.

  5. Gray LP.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eptal deformity in infancy and childhood. Rhinology 1977;15:183.

  6. Mladina R. The role of maxillar morphology in the development of pathological septal deformities. Rhinology 1987;25:199-205.

  7. Egeli E, Demirci L, Yazycy B, Harputluoglu U. Evaluation of the inferior turbinate in patients with deviated nasal septum by using computed tomography. Laryngoscope 2004;114:113-7.

  8. Illum P. Septoplasty and compensatory inferior turbinate hypertrophy: Long-term results after randomized turbinoplasty. Eur Otolaryngol 1997;254:89-92.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