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8(6); 2005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5;48(6): 810-812.
A Case of Bilateral Sudden Hearing Loss Caused by Right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Plus Syndrome and Left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Infarction.
Moo Jin Baek, Jung Bae Choi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Busan, Korea. mjback@ijnc.inje.ac.kr
우측 전하소뇌동맥 플러스 증후군 및 좌측 전하소뇌동맥 폐색으로 인한 양측 돌발성 난청 1예
백무진 · 최정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주제어: 돌발성 난청소뇌 경색뇌저동맥의 폐쇄부전.
ABSTRACT
Acute ischemic stroke in the distribution of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ICA)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vertigo, nystagmus, facial weakness and gait ataxia. A few reports have carefully examined the deafness associated with the AICA infarction. A 55 year old man was presented with right sudden hearing loss, tinnitus and vertigo. The magnetic resonance image of the brain with 4-vessel angiogram showed stenosis in the lower third of the basilar artery due to partial thrombosis and no remarkable lesion in AICA. Although heparin treatment was done, the patient's hearing was not improved. After 3 months of heparin treatment, the patient was presented again with left sudden hearing loss, tinnitus and facial palsy. The magnetic resonance image and angiogram showed increased size of thrombosis and non-visualization of left vertebral artery and basilar artery. Diffusion scan showed focal infarction involving the left AICA territory.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bilateral sudden hearing loss caused by the right AICA plus syndrome and the left AICA infarction. So authors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literature.
Keywords: Sudden hearing lossCerebellar infarctionBasilar insufficiency

교신저자:백무진, 614-735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 633-165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전화:(051) 890-6377 · 전송:(051) 892-3831 · E-mail:mjback@ijnc.inje.ac.kr

서     론


  
전하소뇌동맥(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의 경색은 크게 두 가지의 원인으로 나뉘어 지는데 분지 죽상경화증(branch atherosclerosis)과 관련되어 임상적으로 전하소뇌동맥 영역의 혈관의 폐색으로 인한 특징적인 뇌교, 소뇌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와 전하소뇌동맥의 폐색 없이 뇌저동맥(basilar artery)의 협착이나 혈전으로 인한 전하소뇌동맥 플러스 증후군으로 나눌 수 있다.1)2) 이 중에서 전하소뇌동맥 영역의 폐색으로 인한 동측 돌발성 난청의 경우는 국내외 여러 증례를 통해 보고 되었고 전하소뇌동맥 플러스 증후군으로 동시에 양측성 돌발성 난청이 발생한 증례도 최근 국외에서 보고 되었으나,3) 두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한 양측성 돌발성 난청에 관한 예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초기 전하소뇌동맥의 폐색 없이 뇌저 동맥의 혈전으로 인해 일측 돌발성 난청이 발생한 후에 항응고 요법을 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진행된 전하소뇌동맥 폐색으로 인해 반대측 돌발성 난청이 발생한 1예를 치험 하였기에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1차 내원
   55세 남자 환자가 내원 2일전 돌발적으로 발생한 우측 청력 저하, 매미 우는 소리의 우측 이명 및 지속적인 비회전성 현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신경학적 검사상 자발 안진과 주시 안진은 관찰되지 않았고, 운동 및 감각 이상의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신체 검사상 의식은 명료하였으며, 혈압이 180/120 mmHg로 높게 측정 되었다. 양측 고막은 정상 소견이었으며, 내원시 시행한 고막 운동성 검사상 양측 A type, 순음 청력 검사 및 청성뇌간 반응 검사상 좌측은 정상, 우측은 전농 소견이 관찰되었다. 우측 돌발성 난청 의심하에 입원 치료하던 중 뇌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및 뇌혈관조영술(4 vessel angiography)를 시행하여 뇌저 동맥의 부분적 협착이 확인되어(Fig. 1) 항응고제 치료를 시작하였다. 이후 현훈은 호전되었으나 우측 난청은 호전되지 않아 7일 후 퇴원하여 외래에서 항응고제를 복용하면서 경과관찰 중이었다.

2차 내원
  
외래 통원 치료 3개월 후 내원 2일전 돌발적으로 발생한 좌측 청력 저하, 좌측 이명 및 좌측 안면신경마비(House-Brackman grade II)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신체 검사상 양측 고막은 정상 소견이었고, 순음 청력 검사 및 청성뇌간 반응 검사상 양측 전농 소견이 관찰되었다. MRI, MR angiography, Diffusion scan 상 좌측 전하소뇌동맥 경색이 관찰되어 좌측 전하소뇌동맥 경색으로 인한 좌측 돌발성 난청으로 진단하고(Fig. 2) 항응고제 치료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입원 2일째 갑자기 의식이 저하되고 마비 증세 동반되면서 이후 의식 회복이 보이지 않아 중환자실에서 치료 중 보호자들이 치료 거부하여 3일째 퇴원하였다.

고     찰

   돌발성 난청은 일측이나 양측으로 갑자기 발생하는 원인 불명의 감각신경성 난청을 말하며, 그 원인에 관해서는 아직 확실한 정설은 없으나 바이러스 감염, 외림프 누공, 자가 면역 질환 및 혈관성 요인 등으로 생각되어진다.4)5) 이 중에서 혈관성 원인으로는 감각기에 혈액 공급을 하는 종말동맥의 부전에 인한 것으로 전하소뇌동맥이 주원인이 된다.
   내이의 신경절 세포(ganglion cell)와 신경 세포, 경막, 지주막의 혈류 공급은 전하소뇌동맥에서 분지된 내이동맥(internal auditory artery)을 통하여 총와우동맥(commom cochlear artery)과 전전정동맥(anterior vestibular artery)으로 이루어진다.6)7) 따라서 전하소뇌동맥의 경색으로 인하여 현훈 및 난청이 유발 될 수 있으나 소뇌 경색이 전체 급성 뇌경색에서 발생하는 빈도가 낮아 이에 대한 보고가 드물다.1)6)8)
   전하소뇌동맥 폐색으로 인한 전하소뇌동맥 영역의 경색은 안면신경마비, 동측 주시마비, 동측 감각의 소실 및 소뇌성 운동실조 등 뇌교 및 소뇌 증상에 중점을 두었지만, 드물게 돌발성 난청, 현훈 및 이명 등의 내이 증상이 주증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9)10)11)
   전하소뇌동맥 폐색 없이, 뇌저동맥의 협착이나 혈전에 의해 전하소뇌동맥 폐색시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인 전하소뇌동맥 플러스 증후군에서는 전하소뇌동맥 폐색이 있는 경우에 비해 돌발성 난청이나 현훈을 주증상으로 내원하는 경우가 더 흔함이 보고 되었고3)9)10) 메니에르병, 급성 미로염, 전정 신경염 및 어지러움증을 수반한 돌발성 난청 등과 초기 증상이 유사하여 감별 진단이 쉽지 않다.5) 이런 이유로 전하소뇌동맥 폐색 없이 뇌저동맥의 협착이나 혈전에 의해 돌발성 난청이나 현훈이 발생한 환자에서 이러한 증상들이 전하소뇌동맥 폐색의 전구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해야 한다.3)
   본 증례에서 1차 내원시 양측 이명, 현훈 및 우측 돌발성 난청이 발생하였는데, Brain MRI 및 4-vessel angiography 소견에서 전하소뇌동맥의 이상소견 없이 뇌저동맥의 혈전 및 부분적인 협착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전하소뇌동맥 플러스 증후군에 의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저자들은 초기 뇌저동맥의 부분적인 혈전 외에 전하소뇌동맥의 폐색 없이 일측에서 돌발성 난청이 발생하였고 헤파린 치료에도 불구하고 진행된 뇌저동맥의 폐색로 인해 전하소뇌동맥 폐색이 생겨 반대측에 소뇌 경색 및 돌발성 난청이 발생한 경우를 치험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전하소뇌동맥 폐색 없이 뇌저동맥의 협착이나 혈전에 의해 돌발성 난청이나 현훈이 발생한 환자에서 추후에 소뇌 경색이 발생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FERENCES

  1. Roquer J, Lorenzo JL, Pou A. The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infarcts: A clinical-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Acta Neurol Scand 1998;97:225-30.

  2. Amarenco P, Rosengart A, DeWitt LD, Pressin MS, Caplan LR.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infarcts. Mechanisms and clinical features. Arch Neurol 1993;50:154-61.

  3. Lee H, Yi HA, Baloh RW. Sudden bilateral simultaneous deafness with vertigo as a sole manifestation of vertebrobasilar insufficiency.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3;74:539-41.

  4. Yim KC, Park KY, Kim JY, Chun KD. Clinical analysis of sudden hearing loss. Korean J Otolaryngol 1995;38:843-41.

  5. Chung WK, Eum JH, Hong HJ. A case of vertebrobasillar arterial insufficiency. Korean J Otolaryngol 1996;39:1519-26.

  6. Marinkovic S, Kovacevic M, Gibo H, Milisavljevic M, Bumbasirevic L. The anatomical basis for the cerebellar infarcts. Surg Neurol 1995;44:450-60.

  7. Naidich TP, Kricheff II, George AE, Lin JP. The normal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natomic-radiographic correlation with emphasis on the lateral projection. Radiology 1976;119:355-73.

  8. Barth A, Bogousslavsky J, Regli F. The clinical and topographic spectrum of cerebellar infarcts: A clinical-magnetic resonance imaging correlation stydy. Ann Neurol 1993;33:451-6.

  9. Kido T, Sekitani T, Okinaka T, Tahara T, Hara H. A case of cerebellar infarction occurred with 8th cranial nerve syndroms. Auris Nasus Larynx 1994;21:111-7.

  10. Lee H, Sohn SI, Jung DK, Cho YW, Lim JG, Yi SD, et al. Sudden deafness and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infarction. Stroke 2002;33:2807-12.

  11. Rubenstein RL, Norman DM, Schindler RA, Kaseff L. Cerebellar infarction-a presentation of vertigo. Laryngoscope 1980;90:505-14.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1,484
View
10
Download
Related article
Sudden deafness caused by acute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infarction : A case report.  2000 March;43(3)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