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56(11); 2013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13;56(11): 735-737.
doi: https://doi.org/10.3342/kjorl-hns.2013.56.11.735
A Case of Fungal Ball Accompanied with a Microplate as Metallic Foreign Body in Maxillary Sinus.
Jae Hoon Lee, Jin Man Kim, Ha Min Jeong, Sang Heon Le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Institute of Wonkwang Medical Science, College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coolnose@wonnms.wonkwang.ac.kr
상악동 금속성 이물인 마이크로플레이트와 동반된 진균구 1예
이재훈 · 김진만 · 정하민 · 이상헌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Fungal balls are the most frequent non-invasive form of fungal sinusitis occurring in the immunocompetent individuals. The pathophysiology of fungus balls remains questionable despite known theories such as the obstruction of osteomeatal complex and overfilling of dental cavities. Foreign bodies in maxillary sinus can cause sinusitis by persistent mucosal irritation. Most cases of foreign bodies in the maxillary sinus are related to iatrogenic dental procedure. Foreign bodies in the maxillary sinus, even if they do not result in any symptoms, should be removed because they cause fungal ball growth. Reported herein is a 76-year-old woman who has a history of dental surgery, and who was found to have a fungal ball accompanied with a metallic foreign body as a microplate between the left maxillary sinus and inferior meatus.
Keywords: Foreign bodyFungal ballInferior meatusMaxillary sinus

Address for correspondence : Jae-Hoon Lee, MD,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Institute of Wonkwang Medical Science, College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895 Muwang-ro, Iksan 570-711, Korea
Tel : +82-63-850-1441, Fax : +82-63-841-6556, E-mail : coolnose@wonnms.wonkwang.ac.kr


진균성 부비동염은 크게 침습성과 비침습성의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침습성은 급성 및 만성형으로 구분되고 비침습성은 진균구와 알레르기 진균성 부비동염으로 구분된다. 진균구는 면역이 정상인 경우에 주로 발생하며 최근 증가하는 추세이나, 아직까지 발생위험인자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1)
양측성 부비동염과는 달리 일측성 부비동염은 진균구, 외상, 종양, 이물과 같은 원인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2) 상악동 이물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부비동염은 대부분의 경우 치과적인 치료와 관련되어 있다.3,4,5,6) 국내 많은 치과에서 인공치아 이식이 시행됨에 따라 치성 부비동염이 증가한다.7)
저자들은 악취를 동반한 노란색 비루를 주소로 내원한 76세의 여자 환자에서 상악동내 금속성 이물인 마이크로플레이트와 함께 존재한 진균구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76세 여자 환자가 2개월 전부터 인지한 좌측코에서의 악취를 동반한 노란색 비루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2년 전 좌측 상악 제2대구치에서 발생한 치근낭종(radicular cyst) 제거를 받은 수술기왕력이 있었다. 좌측 상악 제2대구치의 발치와 함께 Caldwell-Luc 접근을 통해 치근낭종이 제거되었으며, 이때 하비도 상악동 개방술도 같이 시행되었다. 낭종 제거 후 상악동내 뼈 결손 부위 재건을 위해 장골(iliac bone)에서 골이식을 하였으며 고정을 위해 titanium 재질의 마이크로플레이트가 사용되었다.
내원 당시 시행한 전비경과 비내시경 검사에서 좌측 하비도를 채우는 흑갈색의 덩어리가 보였다(Fig. 1A). 흑갈색의 덩어리 중 일부를 채취하여 조직검사를 보냈으며 국균(Aspergillus)이 관찰되었다(Fig. 1B).
내원당시 시행한 부비동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좌측 상악동의 전체적인 혼탁과, 상악동과 하비도에 걸쳐 있는 13×3 mm 크기의 고밀도의 종물이 관찰되었으며(Fig. 2A), 금속성 이물이 강력히 의심되었다.
전신마취하에서 비내시경을 이용하여 하비도내의 진균구과 함께 치과적 수술에 의해 이미 만들어진 하비도 상악동 개방창을 통해 금속성 이물인 마이크로플레이트를 제거하였다(Fig. 2B). 혹시 상악동내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이물의 확인을 위한 비내시경 검사를 세밀하게 시행하였으며, 남아있는 한 개의 screw를 추가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Fig. 3). 상악동내에서 관찰된 점막부종 및 폴립양 병변의 호전을 위해 중비도 상악동 개방술을 시행한 후 수술을 끝냈다. 술 후 약 3주까지 수술부위의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그 후 호전되었다. 환자는 술후 4개월째로 환자의 주증상인 악취를 동반한 노란색 비루의 증상은 없어졌으며 외래 관찰중이다.



진균구의 병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많다. 그러나 지금까지 크게 3가지가 병인으로 주장되어졌다. 첫째, 진균은 면역과 같은 신체 방어 기전이 약해진 경우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2) 그래서 당뇨병과 같은 전신질환이 진균구의 발생을 증가하는 중요 요인인가 하는 문제이다. 그러나 진균구 환자들의 경우 대부분 면역이 정상이므로 그에 대한 연관성은 적다.8) 둘째, osteomeatal complex(OMC)의 폐쇄가 진균구의 발생에 직접적인 중요 유발 인자인가 하는 문제이다. Stammberger9)는 OMC의 폐쇄가 진균구의 중요한 유발 요인이라 하였다. 그러나 Tsai 등10)은 상악동 진균구를 가진 환자군과 외상, 종양, 이물과 같은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한 만성 일측성 부비동염 환자군과의 비교에서 OMC의 폐쇄가 진균구의 발생과 연관성이 없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과거에 치과용 충전물(dental filling material)을 사용한 경우 충전물이 진균구의 발생에 관련될 수 있는지의 문제이다. 진균구 환자들의 후향적 연구에서 근관 치료와 같은 치과적 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많았으며 치료 당시 사용된 치과용 충전물이 진균구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보고되었다.11,12) 그러나 전두동, 후사골동, 접형동에 발생한 진균구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을 주기 어렵다.
부비동내 진균구는 짧은 시간내 급속하게 성장하기보다는 짧게는 몇 달, 몇 년이 걸리면서 성장을 하며 경우에 따라 성장이 중지되는 기간도 있다. 부비동은 폐쇄된 공간으로서 세균성 감염과 같은 부비동내 병적인 상태가 지속되면 혐기성 환경이 형성되고 농성분비물이 축적되면 진균의 성장에 좋은 성장 장소가 된다.2) 본 증례의 경우 상악동내로 전위된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대한 이물반응과 염증반응으로 점액섬모기능의 저하, 혐기성 환경 및 점액농성 분비물이 진균 서식에 좋은 환경을 제공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본 증례에서는 하비도에서 진균구가 발견되었으며 부비동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결과 우연하게 상악동의 금속성 이물을 발견할 수 있었다. 환자에게서 외상 혹은 치과적 치료 및 수술 여부에 대한 자세한 기왕력을 청취할 수 있었다. 상악동내로 전위된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대한 이물반응과 염증반응이 발생하여 상악동염을 일으켰으며, 치과적 수술에 의해 이미 만들어진 하비도 상악동 개방창 쪽으로 마이크로플레이트가 이동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방사선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 부비동내 이물인 경우 증상이 없을지라도 진균의 성장을 조장시키므로 반드시 일찍 제거해야 한다.


REFERENCES
  1. Dufour X, Kauffmann-Lacroix C, Ferrie JC, Goujon JM, Rodier MH, Klossek JM. Paranasal sinus fungus ball: epidemiology, clinical features and diagnosi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73 cases from a single medical center in France, 1989-2002. Med Mycol 2006;44(1):61-7.

  2. Stammberger H, Jakse R, Beaufort F. Aspergillosis of the paranasal sinuses x-ray diagnosis, histopathology, and clinical aspects. Ann Otol Rhinol Laryngol 1984;93(3 Pt 1):251-6.

  3. Kim KS, Seo GW, Kim JH, Kim CG. A case of subactue maxillary sinusitis due to dental material.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4;47(10):1063-6.

  4. Jin HR, Lee JY. A dental gauze in an isolated, accessory maxillary sinus.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5;48(12):1530-2.

  5. Rodrigues MT, Munhoz ED, Cardoso CL, de Freitas CA, Damante JH. Chronic maxillary sinusitis associated with dental impression material.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09;14(4):E163-6.

  6. Lopatin AS, Sysolyatin SP, Sysolyatin PG, Melnikov MN. Chronic maxillary sinusitis of dental origin: is external surgical approach mandatory? Laryngoscope 2002;112(6):1056-9.

  7. Kim YH, Moon JH, Kwon JH, Cho JH. A case of acute unilateral maxillary sinusitis developed after dental implant.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3;46(10):886-9.

  8. Grosjean P, Weber R. Fungus balls of the paranasal sinuses: a review.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7;264(5):461-70.

  9. Stammberger H. Endoscopic surgery for mycotic and chronic recurring sinusitis. Ann Otol Rhinol Laryngol Suppl 1985;119:1-11.

  10. Tsai TL, Guo YC, Ho CY, Lin CZ. The role of ostiomeatal complex obstruction in maxillary fungus ball.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6;134(3):494-8.

  11. Legent F, Billet J, Beauvillain C, Bonnet J, Miegeville M. The role of dental canal fillings in the development of Aspergillus sinusitis. A report of 85 cases. Arch Otorhinolaryngol 1989;246(5):318-20.

  12. Mensi M, Piccioni M, Marsili F, Nicolai P, Sapelli PL, Latronico N. Risk of maxillary fungus ball in patients with endodontic treatment on maxillary teeth: a case-control stud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3(3):433-6.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